사회 전국

발효 한약처방으로 손상된 기억력 개선

한의학硏, 학습·기억력 인지기능 개선 물질 개발

전통 한약처방인 십전대보탕을 발효시켜서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퇴행성 신경질환과 노화에 따라 감퇴되는 학습 및 기억력을 개선시키는 물질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했다.


한국한의학연구원은 한의기술응용센터 마진열 박사팀이 전통 한약처방 십전대보탕을 발효시켜서 새로운 뇌신경세포 생성을 약 83% 개선시키는데 효능이 있는 신소재(이하 FSJ)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팀은 동물실험에서 실험쥐를 정상군, 기억력 손상을 유발한 유도군(학습·기억력 저해물질 스코폴라민 투여), 스코폴라민을 투여해 기억력 손상 유발 후 매일 1회씩 총 14일 간 FSJ를 경구투여한 실험군으로 나눠 각각의 차이를 관찰한 결과 실험 6일차에 유도군이 52.4초로 정상군의 20.8초에 비해 약 2.5배 늦어진 반면, FSJ실험군은 26.6초 만에 도달하면서 FSJ가 손상된 기억력을 개선시키는데 효능이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어 연구팀은 수동회피실험에서 습관적으로 어두운 곳으로 들어가려는 쥐의 습성을 활용해 어두운 방에 들어가게 되면 전기자극을 받는다는 기억을 심어 준 후 실험쥐가 밝은 방에서 어두운 방으로 들어가는데 걸린 시간을 측정했고 그 결과 총 180초 중 정상군은 161.1초, 유도군은 73.8초를 밝은 방에서 머무른 반면, FSJ실험군은 167.7초 동안 머무르면서 FSJ가 손상된 기억력 회복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기사



또한 연구팀은 각 실험 그룹에 대한 해마신경재생성(새로운 신경세포의 형성)을 확인한 결과, 유도군에서 감소된 해마신경재생성이 FSJ실험군에서 약 83% 회복된 것을 확인했다.

이번 신소재는 선급실시료 1억 6천만 원(경상실시료 순매출액 3%)에 알파바이오로 기술이전됐다.

마진열 박사는 “이번 신소재는 이미 안전성이 입증된 한약재를 기반으로 개발됐으며, 발효를 통해 새로운 효능이 생성된 것으로 확인됐다”라며 “감소된 기억력 및 신경세포 형성을 회복시키는데 효능이 있는 신소재가 개발·기술이전돼 기억력 및 인지기능 저하 관련 질환으로 고통받는 노년층 및 환자들에게 희소식이 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대덕=구본혁기자 nbgkoo@sed.co.kr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