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수출 물량 소폭 늘었지만… 유가 하락에 금액은 6년 만에 최대 낙폭

한은,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

<자료:한국은행><자료:한국은행>


지난해 수출 물량이 전년 대비 소폭 늘었지만 유가 하락으로 금액은 2009년 이후 6년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2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에 따르면 지난해 수출물량지수는 134.75로 전년(131.40) 대비 2.5%가 증가했다. 반면 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수출금액지수는 2009년(-16.0%) 이후 6년 만에 최대 낙폭인 -9%를 기록했다.


한은이 발표하는 수출입 금액지수는 관세청에서 집계하는 통관기준 수출입금액에서 물가 변동과 크게 상관이 없는 선박, 무기류, 항공기, 예술품 등의 수출입액을 제외해서 작성하는 지표다. 물량지수는 여기에서 물가변동분을 제거해 산출된다.

관련기사



품목별로 보면 석탄 및 석유제품(7.0%)과 정밀기기(7.6%), 화학제품(6.2%), 전기 및 전자기기(4.9%) 등의 수출 물량은 크게 늘었지만 유가 하락 때문에 금액지수는 크게 줄었다. 석탄 및 석유제품은 금액지수가 전년 대비 36.9, 화학제품은 12.9%가 감소했다. 대표적 공급과잉업종인 제1차 금속제품은 물량(-3.4%)과 금액(-15.5%)이 모두 줄었다.

수입지수도 마찬가지였다. 수입물량지수는 전년 대비 3.3%가 증가한 반면, 수입금액지수는 같은 기간 -17.6%가 감소했다. 금액지수는 광산품(-37.8%)과 석탄 및 석유제품(-47.6%), 제1차 금속제품(-20.0%) 등에서 큰 하락 폭을 보였다.

1단위 수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지수화한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출가격(-11.8%)에 비해 수입가격(-18.3%)이 더 크게 내려 전년 동월대비 8.0% 오른 99.97을 기록했다. 수출 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지수화한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전년 대비 14% 오른 134.71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