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K푸드 아시안 벨트 만들자] '한국 할랄' 말레이시아 빼곤 안통해 국제적 인정 '인증 인프라' 구축해야

할랄인증 표준화 안돼 나라마다 제각각

중소기업 진출방법 몰라 식품수출 어려워



무슬림 국가들은 앞다퉈 할랄 규제를 도입하며 '세계 할랄 허브'를 자처하고 있다. 폭발적으로 커지는 할랄 및 인증시장을 선점하려는 의도다. 이 때문에 할랄 시장을 공략하려면 세계 주요국의 할랄인증을 국내에서 받을 수 있는 인프라부터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우리가 수출 시장으로 삼아야 할 주요 국가들의 할랄 인증만 해도 인도네시아 무이(MUI)·말레이시아 자킴(JAKIM)·파키스탄 햅(HAP)이 있다. 여기에 아랍에미리트(UAE)도 올해까지 두바이를 할랄 허브로 육성할 계획을 내놓고 정부 인증 할랄마크를 제정해 부착을 의무화했다.

이와 함께 걸프협력회의(GCC, 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UAE·카타르·오만·바레인)와 협의해 GCC 공동 할랄 인증표준을 만드는 작업도 돌입했다. 이뿐만 아니라 무슬림 인구가 늘어나는 유럽의 독일(할랄 콘트롤), 이탈리아(할랄 이탈리아)를 비롯해 미국(이판카)과 호주(할랄 오스트레일리아) 등도 자체 할랄 인증 기관이 포진해 있다.

할랄인증은 개별 국가가 자율적으로 도입하는 것이어서 세계무역기구(WTO) 규범처럼 표준화된 규정이 없다. 이 때문에 할랄 시장 수출을 노리는 식품기업들은 국가별로 할랄인증을 획득해야 한다. 하지만 자본력이 떨어지는 중소기업들은 할랄인증을 받는 방법과 경로를 몰라 할랄 시장 진출이 어렵다.

국내의 대표적 할랄인증기관으로는 이슬람교중앙회(KMF)가 있다. 이외에도 몇 군데 인증기관이 있기는 하지만 규모가 워낙 작아 KMF가 사실상 유일한 할랄인증기관으로 꼽힌다.

그러나 갈 길은 너무 멀다. KMF의 역량이 턱없이 모자라고 관련 인프라도 정비돼 있지 않은 상황이어서다. 국내 내로라하는 식품기업들이 국내 인정을 피하고 진출 지역의 인증을 받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무슬림 국가 가운데 KMF와 교차 인증이 허용된 곳은 말레이시아 자킴에 불과하다. 싱가포르 무이스(MUIS)도 원칙적으로 교차 인정이 가능하지만 여러 가지 기술적 문제로 활용도가 극히 낮은 편이다. 인도네시아 무이와는 최종 상품이 아닌 식품 원재료만 교차 인증돼 의미가 반감된다. 실제 인도네시아 정부는 지난해 KMF 할랄인증을 새긴 국내 업체 제품이 유통되자 제품에서 할랄 마크를 삭제하라고 요구하는 일도 있었다. 이 업체는 결국 현지인이 아닌 교민을 대상으로만 식품을 팔 수밖에 없었다.

김명호 한국식품연구원 할랄 식품사업단장은 "기업들이 국내 할랄 인증만으로 무슬림 국가에 진출할 기반이 필요하다"면서 "여기에 정책 지원을 통해 민간 기업 스스로 개별 국가에서 제품별로 할랄 인증을 받게 하는 투트랙 전략을 짜야 한다"고 설명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업체당 연간 2,000만원을 지원해 올해 100개 넘는 중소기업이 할랄 식품 인증을 받을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