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성장둔화에 경쟁 심화까지… 이중고 격는 수출시장

지난해 韓·中·日·美·獨 수출 경합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아

※자료:현대경제연구원※자료:현대경제연구원


지난해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미국, 독일 등 주요 경쟁국과의 수출 경합도가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중국과의 수출 경합도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는 등 중국의 위협이 현실화 하고 있다.

21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내놓은 ‘주요 시장에서 한국과 경쟁국 간 수출경합도 및 점유율 분석’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미국, 독일 중요 경쟁국과의 수출경합도는 58.8포인트로 전년대비 1.2포인트가 상승했다.

백다미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 선임연구원은 “지난해 한국과 4개국 간 평균 수출경합도는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을 뿐만 아니라 전년 대비 증가 수준도 높다”며 “가장 치열하게 경쟁한 나라는 일본이며, 한중간 경쟁 강도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과 일본의 수출경합도가 58.8포인트로 가장 높았다. 중국과의 수출경합도는 44.8포인트로 아직 높지 않은 수준이지만, 전년대비 1.9포인트가 상승해 가장 상승폭이 컸다.

관련기사



주요국 별로 보면 미국시장에서의 수출 경합도가 57.8포인트로 가장 높았다. 우리나라의 미국시장에서의 시장점유율은 3.2%로 전년 대비 0.3%포인트가 늘었다. 순위로는 중국(21.5%), 일본(5.8%), 독일(5.5%) 다음이었다.

중국 시장에서의 경합도는 45포인트로 전년 대비 1.2%포인트가 상승했다. 우리나라의 시장 점유율도 10.9%로 1위 자리를 지켰다. 백 선임연구원은 “전자제품, 항공기 등에서 중국의 대미국 수입이 대한국수입보다 크게 증가하고 있어 고부가가치 품목을 중심으로 미국 제품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대중국 시장점유율은 8.9%로 전년 대비 1.1%포인트가 증가했다.

연구원은 성장둔화와 경쟁 심화라는 이중고에 부딪히 수출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수출 패러다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백 선임연구원은 “미국에 대한 공력으로 수출을 확대하고, 중국 소비재 시장 확대에 대응한 맞춤형 진출 전략이 필요하다”며 “또 FTA 활용을 통해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일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기술개발(R&D) 투자 등을 통해 비가격 경쟁력도 높여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