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숲 교육, 보호관찰청소년 정서 치료에 효과 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연구 결과…83% “체험 후 긍정적 변화”

그래픽-보호관찰 청소년 산림교육 효과. 사진제공=국립산림과학원그래픽-보호관찰 청소년 산림교육 효과. 사진제공=국립산림과학원


숲 교육이 보호관찰청소년들의 스트레스 해소와 자기 통제력 제고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남성현)은 산림교육 프로그램을 체험한 법무부 보호관찰청소년 352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참가자 83%가 숲 체험 활동을 통해 긍정적 정서를 갖게 됐고 자아존중감도 5.6%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25일 발표했다.


특히 숲에서의 활동이 자기 통제력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행동하기 전 생각하며 욕구를 지연시킬 수 있는 능력인 장기적 만족추구가 산림교육 이후 15.2% 높아졌고 충동적이고 말보다 행동이 앞서는 경향인 즉각적 만족추구는 9.2%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산림교육 이후 스트레스도 줄어들었다. 심장 박동과 박동 사이의 간격 차이인 심박변이도를 활용한 스트레스 변화에서 참가자의 64.5%가 스트레스와 육체적 피로도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시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박사는 “숲이 보호관찰청소년의 정서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더 많은 아이들이 산림교육을 통한 긍정적 변화로 사회복귀를 앞당기길 바란다”고 말했다.

산림청은 지난해 법무부와 업무협약을 체결, 29개 보호관찰소청소년 582명에게 산림교육을 실시한 바 있으며 올해는 작년 대비 2배가 넘는 1,200명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수혜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co.kr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