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친박계 전국위 조직적 보이콧... 비박 "이건 정당 아닌 패거리집단"

김성태 "특정계파 중진이 참석 무산시켜"

정두언 "이건 정당 아닌 패거리 집단"…친박계 비난

정진석 오후 2시40분께 국회 밖으로 빠져나가

새누리당 전국위원들이 17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릴 예정이던 전국위원회가 의결정족수 부족으로 무산되자 회의장을 나서고 있다. 새누리당은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를 잇따라 열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고 혁신특별위원회를 구성하려 했으나 의결정족수 부족으로 회의 개최가 무산됨에 따라 불발됐다. /연합뉴스새누리당 전국위원들이 17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릴 예정이던 전국위원회가 의결정족수 부족으로 무산되자 회의장을 나서고 있다. 새누리당은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를 잇따라 열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고 혁신특별위원회를 구성하려 했으나 의결정족수 부족으로 회의 개최가 무산됨에 따라 불발됐다. /연합뉴스




새누리당이 총선 참패를 수습하기 위해 꾸리기로 했던 비상대책위원회와 혁신위원회가 친박계의 반기로 출범도 못한 채 무산됐다. 당 지도부와 비박계는 ‘설마 했던 우려가 현실로 나타났다’며 아연실색하는 모습이다. 친박계는 비박계 중심의 비대위 구성에 반발해 ‘비대위원장 추인이 무산될 수 있다’며 경고해왔다.


새누리당은 17일 비대위·혁신위 구성안을 의결하기 위해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를 잇달아 소집했지만 모두 의결정족수 미달로 무산됐다. 이에 따라 정진석 원내대표의 비대위·혁신위 구상이 모두 틀어지며 당 쇄신작업에도 제동이 걸렸다.

당 지도부는 오전까지만 해도 여유로운 모습이었다. 당의 한 관계자는 “친박이 비대위 자체를 흔들지는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상임전국위가 열리기 직전 ‘비대위에 친박계 인사를 추가 선임할 수 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인선 추가는 어려운 문제가 아니니 일단 (비대위를) 운영해보고 (추가 인선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분위기는 상임전국위를 앞둔 오후1시20분부터 바뀌었다. 예정된 시각을 훌쩍 넘긴 오후2시 참석 인원은 20명 남짓에 그쳤고 의결정족수를 채우지 못해 개최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 됐다. 친박계 상당수가 회의장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것이다. 상임전국위는 정원 52명 가운데 과반이 참석해야 성원이 된다. 당 관계자는 “친박계 전국위원들 상당수가 불참했다”고 전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보통 상임전국위가 열리면 30명 이상은 참석하는데 이런 상황은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오후2시15분께 상임전국위 의장을 맡기로 했던 정두언 의원이 보이콧을 선언하며 회의장을 박차고 나갔다. 정 의원은 “이건 정당이 아니라 패거리 집단이다. 동네 양아치들도 이렇게는 안 한다”며 친박계를 원색적으로 비난했다. 김정훈 의원은 회의장을 나오며 “정진석 원내대표가 성원이 안 되면 비대위원장을 맡지 않겠다고 했다”며 회의장 분위기를 설명했다.

안에서 묵묵히 기다리던 정 원내대표는 오후2시30분께 굳은 표정으로 회의장을 나왔다. 기자들의 질문에는 답을 하지 않은 채 국회 밖으로 빠져나갔다. 10분 뒤 회의장에 있던 의원들이 일제히 퇴장했다. 오후2시40분께 홍문표 사무총장 권한대행은 전국위 무산을 선언하며 “당원 여러분, 멀리서 오신 전국위원들 진심으로 죄송하고 사죄드린다”고 말했다. 상임고문인 김수한 전 의장은 “이게 뭐냐. 국민한테 부끄러운 줄도 모른다”며 얼굴을 찌푸렸다.

이날 오후4시 기자회견을 계획했던 혁신위원장 내정자인 김용태 의원은 오후3시10분께 돌연 사퇴 의사를 밝혔다. 김 의원은 “새누리당이 국민에게 용서를 구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잃었다”고 말했다. 기자들의 질문이 쏟아졌지만 김 의원은 자리를 박차고 나갔다.

전국위 파행은 혁신위원장과 비상대책위원회 인선에 반발한 친박계의 집단 불참 탓이라는 지적이 지배적이다. 김성태 의원은 “특정 계파 중진이 줄세우기를 통해 특정 계파와 지역은 아예 참석을 무산시킴으로써 전국위 자체를 조직적으로 보이콧(했다)”이라며 “외부 인사가 더 큰 당내 분란을 부를 수 있다고 외부 인사에 반대하던 분들이 내부 혁신위원장을 통한 우리들의 자성과 반성, 새로운 변화를 무산시킨 것은 이제 아무것도 하지 말자는 이야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혜훈 당선자는 전국위 무산의 이유를 묻자 “계파 갈등이 아니냐”며 “어제 (친박계 초·재선 의원들의) 기자회견은 ‘우리가 누구를 밀었는데 왜 우리한테 한 석도 안 주냐’ 이거였다”고 설명했다.

친박계로 분류되는 정갑윤 의원 또한 “나도 독실한 친박이지만 일각에서 (친박이 보이콧을 했다는) 그런 이야기가 나왔다”고 말했다. 홍문표 사무총장 권한대행도 정족수 미달 사태에 관해 “(일부 의원들이) 여의도에는 많이 와 있는데 여기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에는) 못 들어와 있는 안타까움을 많은 분이 지적했다”고 전했다. /류호·박효정기자 rho@sedaily.com

류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