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전북은행 모니터링 시스템, 금융사기 막았다

통장 비밀번호 변경 요구에

전산조회하자 피해접수 계좌

최근 다양한 수법의 금융 범죄가 발생하는 가운데 전북은행이 금융 사기 모니터링 시스템과 직원의 기지로 금융 사기 피해를 막아냈다.

23일 전북은행에 따르면 지난 21일 전북은행 수원 지점을 찾은 황모씨는 통장 비밀번호를 잊어버렸다며 비밀번호를 변경해달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이 지점 A직원은 전날 재발급한 통장의 비밀번호를 잊었다는 것이 의심스러워 전산 조회를 실시했다.


아니나 다를까. 해당 계좌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이미 금융 사기 의심 계좌로 등록돼 있었고 전북은행 소비자보호실로 당일 사기 거래 피해가 접수된 계좌였다.

관련기사



직원은 황모씨와 동행인에게 일상적인 대화를 나누며 자연스럽게 시간을 끌다가 두 사람이 화장실에 간 사이 경찰에 신고했고 5분 만에 출동한 경찰에 의해 이들이 체포됐다. 경찰 조사 결과 이들은 다른 은행에서도 비슷한 수법으로 범죄를 저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은행은 지난해 1월부터 ‘전기통신금융사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해 시행 중이며 소비자보호실에 전담 인력을 배치해 보다 신속한 모니터링으로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다. 특히 이달부터는 금융 사기 의심 계좌와 대포통장 의심 계좌에 대한 모니터링 등재 요건을 강화해 금융 사기 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전북은행 관계자는 “철저한 모니터링 시스템과 직원들 간의 유기적이고 신속한 대처로 금융 사기를 예방할 수 있었다”며 “전년도 상반기 대비 사기 이용 좌수 발생 비율이 0.18%에서 올해 0.02%로 대폭 감소했다”고 밝혔다.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