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朴대통령, 푸틴과 정상회담]사드로 꽉막힌 외교지형 정면돌파 의지...설득 통할지는 미지수

관계 불편해진 러시아 달래

중-러 팀플레이 약화 노려

성사땐 동북아 흐름 대반전

"이번 방문 큰 주제는 경제"

굵직한 경협 합의 가능성도

박근혜(왼쪽)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현장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북핵 해결 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 /연합뉴스DB박근혜(왼쪽)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현장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북핵 해결 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 /연합뉴스DB




박근혜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나기로 한 것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로 경색된 외교관계를 정면 돌파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한국·미국의 사드 한국 배치 결정으로 한반도 주변 4대 강국의 대립구도가 뚜렷해진 가운데 박 대통령은 우선 러시아부터 설득해나가기로 결심한 것으로 보인다.


3일 러시아 문제에 정통한 한 외교가 관계자는 “(사드 이후) 중국과 러시아가 밀착돼 있는데 박 대통령이 이 부분에 외교력을 집중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사드 배치 결정 이후 미국·일본과 중국·러시아가 각각 밀착한 상황에서 박 대통령이 러시아의 오해를 풀어 중국·러시아의 팀플레이를 약화시키려고 할 것이라는 뜻이다.

실제로 푸틴 대통령은 지난달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함께 한반도 사드 배치에 반대한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서한 형식으로 유엔에 제출하기도 했다. 두 정상은 한반도 문제뿐 아니라 남중국해 문제에서도 미국에 반대한다는 데 입장을 같이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박 대통령이 한반도 문제에 대한 러시아의 입장을 바꾸는 데 성공한다면 이는 소용돌이치는 동북아 정세의 흐름을 바꾸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박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푸틴 대통령이 한반도 사드를 ‘미국과 무관한 한국의 주권적 결정’으로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러시아는 한반도 사드 배치를 미국의 미사일방어체계(MD)의 일부로 본다. 한국에 사드가 배치된다는 것은 한국이 미국의 MD에 참여하는 것과 같다는 게 기본 인식이다.

관련기사



이번 동방경제포럼을 찾는 정상급 인사는 박 대통령 외에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있다. 중국에서는 정상급 인사가 오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베 총리 또한 중·일 갈등 상황에서 러시아와 중국의 공조를 약화시키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청와대 관계자는 “박 대통령의 이번 러시아 방문은 경제가 전부”라고 말했다. 외교·안보 분야에 관심이 집중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경제협력이라는 것이다.

박 대통령은 이번 포럼 전체회의 연설에서 극동 지역에서 각국의 경제협력 강화 방안을 제시한다. 푸틴 대통령과의 양자회담에서도 굵직한 경제협력 방안에 합의할 가능성이 크다.

이번 포럼은 ‘러시아 극동 지방을 열다’라는 주제로 열리며 한국, 중국, 일본 및 동남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회원국 대표단이 참석한다. 한국에서는 박 대통령과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정부 인사와 삼성전자·현대자동차·롯데호텔·한국가스공사 등 기업인 100여명이 참가한다.

특히 러시아는 산업단지 부지 제공, 블라디보스토크항 자유사용, 인적자원 제공 등을 각국 투자자에게 제시해 에너지·해운·관광·산업클러스터·물류·인프라 등 경제 각 부문의 혁신을 이끌어낼 계획이다.

특히 이번 포럼을 계기로 남북관계 경색 이후 급속히 냉각된 한국·북한·러시아 간 극동 지역 삼각 경제협력이 새롭게 추진될지 주목된다. 극동의 경제 부흥은 러시아의 중요한 국가전략 중 하나이고 여기에는 한국과 북한의 참여가 필수다. 청와대 측은 “북한 측 인사가 이번 포럼에 참가하는지는 확인해줄 수 없다”고 밝혔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