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서경이 만난사람]김영석 해수부 장관 "마리나·크루즈산업 키워 '해양 르네상스' 기초 다질 것"

마리나관광·제조·서비스업 육성

해양경제 부흥·일자리 창출 앞장

“해외 선진국에 나가보면 작은 항구들도 대부분 마리나(marina·레저 또는 스포츠용 요트·보트 정박지)입니다. 요트를 타는 사람들이 오면서 지역경제가 활기를 띠고 관련 산업이 발달해 일자리도 창출됩니다. 국토의 삼면이 바다와 인접한 우리나라도 이 같은 해양 르네상스가 필요합니다.”

올해는 해양수산부 출범 20주년이 되는 의미 깊은 해다. 김영석 해수부 장관은 올해를 ‘해양 르네상스’의 원년으로 삼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김 장관이 취임 초기부터 강조했던 해양 르네상스는 삼면이 바다인 국토에 사는 국민들에게 해양과 해양산업을 친근하게 여길 수 있는 사회·문화적 인프라를 만들어 해양경제를 부흥시키기 위한 프로젝트다.


해양 르네상스 프로젝트는 교육과 문화·산업·국제 등 모든 부분에서 추진되고 있다. 김 장관은 취임 두 달 만인 지난 1월 ‘마리나 클러스터’ 육성을 위한 연구용역에 착수했다. 바다는 물론 강과 호수 등 내수면까지 아우르는 마리나를 구상해 국내 마리나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다. 이를 통해 고부가가치 선박인 요트·보트 제조와 정비·교육에 더해 리조트 사업 등 국내 마리나 관광·제조·서비스업을 육성해 바다 경제와 일자리를 만들 계획이다. 김 장관은 “해양 르네상스는 워낙 다양한 분야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전 직원의 노력이 중요하다”면서 “앞으로 1세기는 더 노력해야 한다는 각오로 해양강국의 초석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특히 김 장관은 해양강국의 핵심인 크루즈 산업이 예상보다 훨씬 빨리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크루즈 여행객을 올해 150만명, 내년 220만명으로 예상했지만 실제 관광객은 이보다 더 많을 수 있다”며 “300만 달성시기도 예상보다 더 빨리 찾아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크루즈 관광객 1인당 지출액은 886달러(102만원)로 올해 150만명이 방문해 쓰는 돈만도 1조1,5000억원에 달한다. 김 장관은 “동북아 크루즈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면서 “전용 터미널 인프라를 개선해 관광객을 더 유치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전했다.

글로벌 엘리트 수산인력 육성을 위해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산하 세계수산대학을 국내에 설립하는 일정도 차질없이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제안서를 내고 시범사업을 벌이는 등 국제기구와 절차적 문제로 유치시기가 다소 지연되고 있지만 인내심을 가지고 국내 유치를 완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구경우기자 bluesquare@sedaily.com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