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독립운동 요람’ 배화여고 본관·과학관, 문화재 지정된다

문화재청에 신청서 제출…“내년 1월 정식 등록 전망”

일제강점기 독립사상 고취와 민족계몽의 현장인 100년 역사의 배화여고 과학관과 본관에 대한 문화재 지정이 추진된다.

15일 서울시에 따르면 배화학원은 최근 종로구 필운대로 1길 배화여고 교내 과학관과 본관에 대한 등록문화재 신청서를 문화재청에 제출했다.


서울시는 “서울시문화재위원의 현장조사를 통해 등록문화재로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린 상태”라며 “문화재청 심의를 거쳐 내년 1월까지는 정식 등록을 마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배화여고 과학관은 1915년 지은 건물로 당시 신축한 2층 건물에 1922년 2개 층을 증축해 현재의 지상 4층, 연면적 968㎡ 규모를 갖췄다. 본관은 1926년 신축해 1978년 중수한 지상 4층, 연면적 2,138㎡ 규모의 건물이다. 두 건물은 대표적인 근대 신식 학교 건물로 손꼽을만한 건축물이라는 평가와 영국식 벽돌쌓기를 적용한 건물로 근대건축물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자료라는 평가를 함께 받고 있지만 문화재 등록 추진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지난 해 6월 배화학원 이사회는 배화여대 기숙사 신축 등을 위해 과학관을 철거하기로 의결하자 이 소식을 들은 동문과 학부모, 학생들이 반발, ‘100년 역사 배화과학관 지킴이’를 결성해 철거에 맞섰다.

당시 동문·학생 등은 과학관이 여성 개신교 선교사인 조세핀 캠벨 여사가 지은 건물이자 1910년대 한국 건축물로 역사적 의미가 있는 공간이라고 주장했다. 학교 구성원들의 반대에 학원 측은 작년 9월 임시이사회를 열어 과학관 철거 계획을 취소하고, 방향을 바꿔 과학관과 본관의 문화재 등록을 추진했다.

두 건물은 독립운동사에도 의미 있는 공간이다. 무궁화·태극기 자수 보급, 애국가사 보급 등을 통해 애국·독립사상을 고취한 것으로 유명한 독립운동가 남궁억(1863∼1939) 선생과 영어·성경을 가르치며 학생들에게 민족정신과 함께 근대적 가치관을 심어준 차미리사(1880∼1955) 선생이 이곳에서 활동했다. 배화학원은 이 같은 학교 역사를 기리기 위해 교내에 기념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