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대포통장, 은행권 단속 강화에 상호금융권으로 이동

상반기 지급정지 대포통장

상호금융권 13.4↑ 3,173건

은행선 5.3% 줄어 대조적

1615A09 지급정지대포통장수정1615A09 지급정지대포통장수정


올 상반기 농협ㆍ신협 등 상호금융권의 대포통장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 당국이 대포통장을 쉽게 만들 수 없도록 은행권 단속을 강화하자 사기범들이 상대적으로 감시가 취약한 상호금융권을 공략한 것으로 해석된다.

1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보이스피싱에 이용돼 지급 정지된 대포통장은 모두 2만1,555개로 지난해 하반기 2만2,069건 대비 2.3% 감소했다.


정부기관을 사칭한 사기에 이용된 대포통장은 6,591개로 전 분기 대비 24.9%나 감소했지만 신용등급을 올려준다거나 편법 대출을 받아주겠다는 대출빙자형 사기에 이용된 대포통장은 1만4,964개로 12.6% 증가했다.

관련기사



권역별로 보면 상호금융권의 대포통장이 확연히 증가했다. 은행권 대포통장은 1만5,932개로 전기보다 5.3% 감소했지만 상호금융권은 3,173건으로 13.4% 증가했다. 신규 계좌보다는 기존에 이용하던 계좌를 대포통장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개설 후 5일 이내에 대포통장으로 이용되는 계좌 비중은 4.9%에 그쳤다. 반면 계좌를 개설한 지 1년이 넘은 대포통장 비중은 63.3%로 지난해(55.7%)보다 커졌다. 신규 계좌 개설시 금융거래목적 확인 등 심사 기준이 강화되자 장기간 사용하던 기존 계좌를 모집해 대포통장으로 이용하는 사례가 늘어난 결과다.

대포통장 명의인으로 등록된 사람은 1만2,807명으로 지난해 하반기보다 15.5% 감소했지만 법인 명의인은 752개사로 18.1% 늘었다. 계좌 개설 관련 규제를 회피하기 위해 유령 법인 설립 후 법인 통장을 개설해 대포통장으로 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대포통장 피해자는 20대 남성, 40대 여성이 가장 많았다. 20대는 취업을 미끼로 급여계좌 개설을, 40대 여성의 경우 거래실적을 올려 신용등급을 상향시켜주겠다는 수법이 대다수였다. /윤홍우기자 seoulbird@sed.co.kr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