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P2P(개인 간) 대출은 기본적으로 수익률이 일반 금융권 상품보다 높긴 하지만 은행 예금처럼 예금자 보호가 되지는 않는다. 아직 수면 위로 드러난 커다란 대출 사고는 없지만, 부동산 경기 변동이나 대출자의 문제로 인한 원금 손실 가능성이 상존하는 것이 사실이다.
부동산 P2P를 포함한 P2P 대출 시장이 급성장한 것은 최근 2~3년 사이의 일이다. 따라서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정부의 가이드라인 조차 아직 마련되지 않은 상태다.
최근 들어서야 금융위원회는 관계 기관 합동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관련 논의에 착수했다. 10월 가이드라인 시행을 목표로 투자자 보호를 위한 필수사항을 중심으로 확정수익 보장과 거짓·과장광고에 대한 금지, 상품·업체에 대한 정보공시 등을 검토하고 있다.
결국 현재는 투자자 각자의 신중한 판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부동산 P2P 대출의 경우 우선 담보가 있는지 없는지, 담보가 있다면 선 순위인지 후 순위인지를 체크해야 한다. 특히 담보력 평가 방식이 합리적인지도 살펴야 한다는 업계의 조언이다.
부동산 P2P 업체 관계자는 “부동산 P2P 대출 모두가 담보를 잡는 것은 아닌데 헛갈리기 쉽다”며 “또한 보통 수익률이 높은 부동산 상품은 후 순위(2순위) 담보이기 때문에 그만큼 위험성이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고 말했다.
건축자금 등 PF 대출 상품의 경우는 입지 여건이 관건이다.
입지는 기본적인 분양 사업성을 좌지우지 하는데다, 만약 부실로 경매나 공매 넘어갔을 때 지역에 따라 낙찰가율 차이가 크다.
부동산 P2P 업체들이 마련해 놓은 안전 장치 및 채권 회수 방법도 체크해둘 필요가 있다. 업체들이 도입한 연체, 부실 채권 회수법은 담보신탁을 통한 공매 제도, 매입보증회사에 채권 매각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