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국방부, "간호장교 인터뷰 '靑과 조율’ 부인, 주선만 했다"

문상균 대변인 “인터뷰는 주선, 靑에는 사후보고”

내용 사전에 몰라…靑에 ‘인터뷰할 것’이라고 보고”

국방부는 세월호 참사 당일 청와대에서 파견 근무한 간호장교 조 모 대위가 미국에서 진행한 언론 인터뷰 내용을 청와대와 사전에 조율했다는 의혹을 부인했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2일 정례 브리핑에서 “조 대위는 현역이니 인터뷰 요청을 받으면 국방부 훈령에 의해 대변인을 거치게 돼 있다”며 “국방부는 인터뷰에 응하겠다는 본인 의사를 확인하고 절차에 따라 인터뷰를 주선했다”고 말했다.


문 대변인에 따르면 조 대위가 워싱턴 주재 한국대사관에 근무하는 국방무관에게 대면이 아닌 전화 인터뷰에 응하겠다는 의향을 전달했고, 국방부가 이를 국방무관에게 보고 받은 뒤 국방홍보훈령에 따라 승인했다는 것이다.

문 대변인은 ‘청와대와 인터뷰 내용을 사전 조율했느냐’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 국방홍보훈령 규정에 따라서만 조치했다”며 “다 조치한 뒤에 이런 것을 한다고 (청와대에) 알려줬다”고 말했다. 그는 ‘인터뷰 내용을 사전에 알고 있었느냐’는 질문에도 “사전에 전혀 알지 못했다”고 답했다.


국방부는 조 대위가 언론 취재가 시작되자 미 육군 의무학교 영내의 호텔로 숙소를 옮기는 데 개입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부인했다. 문 대변인은 “조 대위가 외부로부터 엄청난 연락과 접촉 시도에 대해 심리적 불안감을 느낀 것으로 알고 있고, 미 의무학교에서도 심리적 불안정 상태를 확인하고 내부에 들어와서 기거하도록 조치했다”며 “본인도 희망해서 들어간 것으로 알며 국방부가 협조요청을 한다든지 개입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조 대위가 머무르는 영내 호텔의 하루 숙박료가 130달러에 달한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선 “그 정도 금액은 아니다. 훨씬 적다”고 말했다.

조 대위는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 당일 청와대에서 근무한 간호장교 2명 중 1명으로, 지난 8월부터 미 텍사스 주 샌안토니오의 육군 시설관리사령본부 내 병원에서 연수 중이다. 그는 세월호 참사 당시 청와대 의무실 소속 간호장교들이 박근혜 대통령에게 주사 처방 등 의료행위를 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세월호 7시간’의 비밀을 풀 열쇠를 쥔 인물로 주목받아왔다.

조 대위는 언론 취재에 응하지 않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특파원들과의 전화 인터뷰를 자청, 세월호 참사 “당일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진료는 없었다”고 말했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