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최순실 지원-합병' 대가성 정조준...삼성 "공갈·강요 당했는데..."

[특검, 이재용 부회장 소환]

"장시호가 준 태블릿에 삼성 지원 내역·e메일 등 상세히 나와"

朴-李 독대후 최씨 지원 급진전...삼성물산 합병 '뒷거래' 판단

특검, 朴 '최씨와 경제 가족' 증명해 직접 수뢰죄 전환도 검토



박영수 특검이 12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소환해 집중적으로 조사할 대목은 삼성이 최순실(61)씨 모녀를 지원하는 데 그가 직접 관여했는지다.

특검은 경영권 승계 작업의 핵심인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에 국민연금공단이 찬성표를 던지게 하려고 삼성이 최씨 모녀를 지원했고 이 부회장이 특혜지원을 결정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최씨 지원을 결정하는 최고 결정권자가 이 부회장인데다 두 기업의 합병으로 실익을 얻는 이도 이 부회장이라는 이유에서다. 이 부회장이 지난 2015년 7월 박근혜 대통령과 독대한 후 최씨 지원이 급진전했다는 점도 이 같은 특검의 판단을 뒷받침하고 있다.


특검은 이 부회장을 상대로 미르·K스포츠재단과 최씨 모녀가 100% 지분을 가진 회사에 각각 거액을 내도록 지시했는지를 추궁한 뒤 구속영장 발부 등을 결정할 방침이다. 아울러 11일 국회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국정조사특위에 이 부회장에 대한 고발을 요청했다. 특히 최씨의 조카 장시호(38)씨가 5일 제출한 새로운 태블릿PC를 활용, 이 부회장의 직접 관여 정황을 비롯해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과정에서 오간 ‘은밀한 거래’를 입증할 계획이다. 새로 드러난 태블릿PC는 2015년 7~11월 최씨가 사용한 것으로 100여건의 e메일이 담겨 있다. 독일 내 자산관리인 데이비드 윤과 노승일 K스포츠재단 부장, 박원호 전 대한승마협회 전무 등과 주고받은 메일 가운데 최씨가 대한승마협회 부회장인 황성수 삼성전자 전무와 직접 주고받은 내용도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삼성이 최씨 일가를 지원했다는 핵심 증거이자 이 부회장 압박용 카드로 쓰일 이들 e메일을 확보한 만큼 앞으로 혐의 입증을 자신하고 있다. 특검팀 대변인인 이규철 특검보가 이날 브리핑에서 이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를 묻는 말에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답한 배경에도 이러한 자신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 특검보는 이날 “태블릿PC 안에는 삼성이 보낸 지원금이 최씨의 독일 법인 ‘코레스포츠(현 비덱스포츠)’로 빠져나간 내역과 부동산 매입·세금 처리 부분까지 상세히 나와 있다”고 밝혔다. 게다가 독일에서 사용한 자금에 대해 삼성 관계자와 메일을 주고받은 정황도 포함돼 있다고 전했다.


특검은 이 부회장의 소환조사를 앞두고 ‘제3자 뇌물수수’에서 ‘뇌물공여’ 쪽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부분을 고심하고 있다.

관련기사



박 대통령과 최씨의 관계를 고려할 때 삼성 측이 최씨를 우회해 뇌물을 준 것(제3자 뇌물수수)이 아니라 삼성이 대통령에게 직접 준 것(뇌물 공여)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박 대통령이 삼성 합병을 돕는 대가로 최씨 모녀에 대한 지원을 종용했다면 제3자 뇌물 혐의를 적용 받을 수 있다.

하지만 특검은 박 대통령과 최씨가 사실상 ‘경제적 가족’으로 판명되면 직접 수뢰죄 적용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박 대통령과 최씨가 한 몸으로 의심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특검은 현재 법리 적용을 검토 중으로 기소 때 어떤 혐의를 적용할지 결정할 계획이다. 또 최지성 삼성그룹 미래전략실장(부회장)과 장충기 미래전략실 차장(사장) 등에 대해서도 이 부회장 조사 이후 일괄 사법 처리할 방침이다.

특검의 파상공세에 삼성 측은 ‘이 부회장은 연관이 없다’는 입장이다. 이미 최 부회장과 장 사장은 특검 조사에서 “이 부회장에게 최순실 특혜 지원 내용을 보고하지 않고 본인 판단에 따라 (지원을) 결정했다”는 취지로 진술했다. 지원금에 대한 대가성과 뇌물 혐의에 대해서도 극구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 부회장의 공식 직함이 삼성전자 부회장인 만큼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사안에 대해서는 지시를 내리거나 관여할 수 없다는 식으로 해명하며 ‘오너 살리기’에 나서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원 이유에 대해서도 대가를 바란 게 아니라 최씨 측 협박 등 압력에 떠밀려 거액을 지원했다는 주장을 되풀이했다. /안현덕·진동영기자 always@sedaily.com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