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4차 산업혁명 이끌 새 먹거리 발굴" 3,000억 정책펀드 만든다

산업부·금융위 공동 투자

우수기술 기업에 인센티브 확대

산업통상자원부와 금융위원회는 신산업 비즈니스를 창출할 핵심기술(Key-Tech)에 투자하기 위해3,000억원 규모의 정책펀드를 만들기로 했다고 19일 밝혔다. 한국중부발전이 신보령화력건설본부에 위치한 옥내저탄장 지붕에 건립한 건태양광 발전 설비. /사진제공=중부발전산업통상자원부와 금융위원회는 신산업 비즈니스를 창출할 핵심기술(Key-Tech)에 투자하기 위해3,000억원 규모의 정책펀드를 만들기로 했다고 19일 밝혔다. 한국중부발전이 신보령화력건설본부에 위치한 옥내저탄장 지붕에 건립한 건태양광 발전 설비. /사진제공=중부발전




정부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해 새로운 비즈니스를 발굴하기 위해 3,000억원 규모의 정책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금융위원회는 신산업 비즈니스를 창출할 핵심기술(Key-Tech)에 투자하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의 펀드를 만들기로 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펀드는 정부와 금융권의 투자재원을 공동으로 조성하는 구조다. 산업부 산하 한국산업기술진흥권과 산업은행, 성장사다리 펀드 등 정부·금융기관이 주요 출자자로 재원을 출자하게 된다. 펀드 구조는 500억원 규모 중소·벤처펀드 2개와 2,000억원 규모 사모펀드(PE)로 구분된다.

관련기사





투자 대상은 최근 정부가 발표한 주요 신산업 분야 해당 기업이며 정부는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적당한 투자처를 발굴하도록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정부는 사업 재편을 위한 인수합병(M&A), 외부기술도입(Buy R&D, 기술혁신형 M&A), 신산업 관련 프로젝트 등 다양한 유형의 신산업 분야에 대한 투자를 유도할 계획이다. 중소·벤처펀드의 경우 ‘투자용 기술신용평가(TCB)’를 활용해 우수기업을 발굴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했다. 기술신용평가란 기존 신용평가 위주의 기업대출에 기술평가를 반영해 우수 기술기업과 초기 기업 지원 등을 확대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펀드는 1월 중 출자공고, 4월 펀드운용사 선정, 민간 출자자 모집 등의 절차를 거쳐 올해 안에 조성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펀드 조성이 신산업 투자에 대한 성공률을 극대화하기 위해 산업계와 금융계가 각각의 장점을 살리면서 서로 손을 잡고 투자하는 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