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해외증시

[뉴욕증시] 트럼프 경제정책 불확실성에 약보합

감세·재정확대 ‘정책 우선 순위서 밀리나’ 우려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책 불확실성에 하락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6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19.04포인트(0.09%) 하락한 20,052.42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4.86포인트(0.21%) 하락한 2,292.5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22포인트(0.06%) 떨어진 5,663.55에 장을 마감했다.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없는 가운데 트럼프 정부의 정책 불확실성 등이 지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지난주 후반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이 금융규제법인 ‘도드-프랭크법’의 일부 내용을 폐지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을 발동하면서 강세를 보였지만 투자자들은 여전히 보호무역과 반(反)이민 정책 등의 불확실성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글로벌 완구 업체인 해즈브로의 주가는 분기 순익과 매출이 시장 예상을 웃돌아 14% 넘게 급등했다. 해즈브로는 지난해 12월 마감된 분기 순이익이 1억9,270만달러(주당 1.52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16억3,000만달러를 올렸다.

관련기사



유명 귀금속 판매업체인 티파니의 주가는 프레드릭 쿠메날 최고경영자(CEO)가 사퇴한다는 소식에 2.5% 하락했다. 티파니는 최근 연휴 기간 매출이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건축 자재 업체인 로우스 주가는 지난해 4분기 순이익의 흑자 전환했음에도 0.9%가량 떨어졌다. 로우스는 지난해 4분기 순익이 2억6,800만달러를 기록해 1년 전 2억100만달러 손실에서 개선됐다고 발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2% 증가한 33억4,000만달러를 나타냈다.

애널리스트들은 시장 참가자들이 새 정부의 추가 정책을 기다리고 있다며 증시가 상승세를 잠시 멈춘 것은 그만큼 투자자들이 투자에 대해 이성적으로 판단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골드만삭스는 정부의 세금 삭감과 인프라 투자 확대는 증시에 호재가 될 수 있지만 정책이 구체화되지 못하고 보호무역과 반이민 정책만 강조되는 데 대해 우려를 표시했다.

/뉴욕 = 손철 특파원 runiron@sedaily.com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