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현대重 분사' 노사 갈등 새국면

사측 "사업분할은 생존의 길

고용·근로조건 100% 승계"

노조 "구조조정 가속화 우려"

대선 앞두고 정치쟁점화 나서

사업 분할을 추진 중인 현대중공업이 근로자에 100% 고용 보장을 약속했지만 노조가 대선국면을 겨냥해 정치쟁점화에 나서고 있어 노사 갈등이 새로운 양상으로 변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7일 내부 소식망을 통해 “사업 분할은 유례없는 위기 상황에서 경쟁력 확보와 생존을 위한 길”이라며 “모든 근로자의 고용과 근로조건은 100% 승계한다”고 밝혔다. 회사는 또 “현대중공업그룹 가족 관계는 변함없이 유지될 예정이어서 분리 후 경영상황이 나빠져서 다른 회사로 넘어갈 것이라는 등의 우려는 하지 않아도 된다”고 약속했다.현대중공업은 오는 27일 주주총회를 거쳐 4월부터 조선·해양, 전기·전자, 건설장비, 로봇, 그린에너지, 서비스사업 등 6개 법인으로 분사할 예정이다. 지주회사 형태로 전환을 앞둔 현대중공업이 노동조합과 근로자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에 나선 것이다.


회사는 또 “현 구조에서는 모든 투자가 매출 비중이 큰 조선·해양 위주로 이뤄지고 비조선은 소외될 수밖에 없다”며 “분할되면 의사결정이 신속하게 이뤄지고 업무 배분의 효율성도 높아져 기업 가치가 상승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하지만 노조는 사업 분할문제를 정치쟁점화하고 있다. 노조는 “사업 분할로 인력 구조조정이 가속화 할 수 있다”며 민주노총과 함께 대선을 앞둔 정치권을 찾고 있다. 노조는 전날 민주노총 금속노조 위원장과 함께 서울 여의도 국회를 방문해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등에게 분사 저지를 위한 경제민주화법 제정을 촉구했다. 이 자리에서 우 원내대표는 “2월 국회에서 분사 문제를 다루겠다”며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더라도 경영에 실패한 책임을 묻고, 노동자 피해에 대해 정부가 대책을 마련하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노조는 분사 저지를 목적으로 이달 들어 새누리당을 항의 방문하고, 주채권은행인 KEB하나은행 앞에서 집회를 연 후 항의서한을 전달하기도 했다. 노조는 “사업분할 구조조정은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며 분사를 법적으로 막을 수 있는 법안 처리를 위해 정치권을 압박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달 19일 임금 부문에서 12만3,000원 실질 인상안과 함께 성과금 230%에 격려금 100%+150만원, 통상임금 범위 확대 등을 노조에 제시했다. 대신 유휴인력 흡수를 위해 2017년 1년간 임금 20% 반납을 최종 제안했지만 더는 교섭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