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센카쿠 사태의 교훈]민간채널통해 차근차근 관계회복 모색을

中 자극하는 비판 자제 등

관계회복 물밑접촉 노력을

중국이 한국 관광상품 판매를 전면 중단하며 한반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압박조치를 전면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지난 2012년 일본과의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분쟁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양국 간 공식 대화 채널이 무려 2년간 중단됐던 당시의 사태를 재연하지 않으려면 재계 등 민간 채널 차원의 물밑 접촉을 지속하며 차근차근 관계 회복을 모색해가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시 일본 정부가 센카쿠열도에 대한 국유화를 전격 선언하자 중국에서는 일본 제품 불매운동은 물론 일본 자동차 운전자에 대한 폭행 사태까지 벌어졌고 급기야 중국 당국은 일본 관광 금지령 카드까지 빼 들었다. 그 결과 중국의 일본 관광객은 급감했고 일본의 대중 수출 규모도 큰 타격을 입었다.


실제 일본 관광 금지조치를 취한 직후인 2012년 10월과 11월 일본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각각 6만9,713명, 5만1,993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3%, 43.6% 감소했다. 일본의 대중 무역도 급감해 센카쿠열도 갈등이 절정에 달한 2012년 일본의 대중 수출액은 1,441억7,400만달러로 전년 대비 11.0% 감소했다. 이듬해인 2013년도에도 수출액 감소세는 10.5%에 달했다.

관련기사



양국 간 대치 국면은 2014년 9월 양국 외교부 부국장급을 대표로 하는 해양협의를 열 때까지 약 2년간이나 지속됐다. 여기서 주목을 끄는 것은 관이 아닌 일반 사회와 기업 등 민간 부문이 주도적으로 나서 양국 간 관계 회복세에 힘을 보탰다는 점이다. 당시 일본에서는 국민들과 언론·기업 등이 하나가 돼 중국인들을 자극하는 지나친 비판을 자제하는 등 사태 진화에 힘썼다. 중국에 진출한 일본 기업이 2만여개사에 달하는 만큼 일본 제품 불매운동에 나서면 그만큼 중국 내 소비와 고용이 줄어드는 피해를 볼 수밖에 없음을 인지한 것이다. 조 후지오 도요타자동차 회장과 최대 재계단체인 게이단렌의 요네쿠라 히로마사 회장 등 일중경제협회 사절단도 2013년 3월 중국을 방문해 리위안차오 중국 부주석 등과 경제교류 개선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며 사태 해결의 물꼬를 텄다. 일본은 사태 회복 이후에도 관광 분야를 중심으로 한 민간 분야에 집중해 지난해 일본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637만여명으로 당시보다 5배 가까이 늘어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와 관련, 2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도 “중국은 한국의 최대 무역 상대국이고 중국 입장에서도 한국은 4대 교역국”이라며 “성장 둔화의 어려움을 겪는 중국이 이러한 경제적 유대를 해치기를 바라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베이징 외교가의 한 소식통은 “중국은 국내 기업들에 중국은 텃밭 격인 제2의 내수시장”이라며 “보다 성숙된 반응으로 ‘물밑접촉’에 치중하며 차근차근 사태를 풀어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홍병문특파원 hbm@sedaily.com



홍병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