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과거 中 갈등 대만&일본 등도 관광객 감소...주가 영향은 제한적

사드 배치 결정에 대한 중국 정부의 보복 조치가 노골화하면서 대만·일본 등 과거 중국과 유사한 갈등을 겪은 국가들의 사례가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출범한 차이잉원 정권이 ‘하나의 중국’ 정책을 인정하지 않자 자국민의 여행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고 앞서 2012년 일본과 댜오위다오(일본명 센카쿠열도) 분쟁 당시에도 비슷한 보복 조치에 나섰다.


6일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5월 차이잉원 정권 출범 이후 중국의 관광금지 조치로 대만의 중국인 관광객 수는 지난 9개월간 평균 28.9% 감소했다. 일본도 2012년 9월 이후 11개월간 평균 28.4% 줄었다. 관광 금지령 조치 이전 대만의 중국인 관광객 규모(2015년 5월~2016년 4월)는 약 433만명, 일본(2011년 8월~2012년 9월)은 약 175만명 수준이었다. 중국 정부의 보복 조치로 당시 일본의 화장품 3개사 중 중국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시셰이도의 경우 제재 이후 초기 주가 부진과 실적부진이 이어진 반면 중국 비중이 높지 않은 코제와 카오의 경우 닛케이지수와 유사한 흐름을 나타냈다. 여행업과 항공업의 경우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했고 주가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이었다. 여영상 한국투자증궈 연구원은 “일본과 대만의 사례에서 보면 중국의 제재에 따른 주가 영향은 중국인 관광객수 감소가 실제 기업실적 부진으로 이어지는 경우에만 해당됐다”며 “지난 주 국내 여행업과 항공업종의주가 하락은 과도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여 연구원은 “면세점과 카지노, 화장품의 경우 실적에 미치는 정도와 기 간 등을 개별적으로 가늠해야 할 것”이라며 “유통업은 중국 제재의 직접적 타겟이 된 롯데쇼핑과 면세점 사업을 영위하는 신세계에 국한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