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재테크

잘 나가던 러시아펀드 '빨간불'

유가 상승세 주춤·러 증시 하락

신흥국펀드 중 홀로 마이너스

1년 수익률 40%대까지 떨어져



1년 수익률이 60%까지 치솟았던 러시아펀드에 경고등이 켜졌다. 유가 상승 속도가 더뎌지는데다 러시아 증시가 하락세를 보이며 펀드 수익률도 주춤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여전히 러시아의 상승 여력을 높게 평가하고는 있지만 다소간의 비중조절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8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러시아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최근 1개월 동안 -5.3%까지 떨어졌다. 연초 이후로도 -2.3%를 기록하며 지난해와는 대조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 초까지만 해도 러시아펀드의 1년 평균 수익률은 57.14%를 기록했지만 지난 7일 기준으로는 40.46%까지 떨어졌다.

여타 신흥국과 비교했을 때 러시아펀드는 홀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중국·인도·브라질 펀드는 올해 들어 6~12%대의 평균 수익률을 거두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신흥아시아·신흥유럽 지역도 부진하게나마 1~3%대의 플러스 수익률은 지키고 있다.


러시아펀드의 등락에는 유가의 영향이 크다. 원유 등 에너지 수출 비중이 러시아 전체 수출 규모의 7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에는 배럴당 30달러대였던 유가가 60달러 가까이 상승하면서 러시아 증시 역시 54%나 급등했지만 올 들어서는 유가가 50달러 중반대에서 맴돌면서 증시도 약 8% 하락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 합의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셰일가스 증산에 나서면서 유가가 60달러선을 넘기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관련기사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지나친 기대는 금물”이라는 목소리가 들려온다. 임동욱 신영증권 명동지점 이사는 “장기적으로 유가가 오를 수는 있겠지만 얼마나 오를지는 미지수”라며 “러시아 주가와 루블화 가치, 경제적 체력 등이 상당히 개선됐고 장기적으로도 좋을 수 있겠지만 눈높이는 낮춰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유동원 키움증권 글로벌전략팀 이사도 “러시아는 여전히 신흥국 중 가장 주목해야 할 투자처지만 올해는 신흥국보다는 선진국에 대한 투자 비중을 높이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다만 유 이사는 “러시아는 밸류에이션이 낮고 상승 여력이 높다”며 장기적인 안목으로 투자를 결정할 것을 권했다.

유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