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포스코대우 미얀마 광구 탐사, 올 부활한 특별융자 '승인 1호'

민간기업 해외자원개발 조사 신청도 전년比 69%↑

포스코대우가 해외 자원개발 비리로 중단됐다가 올해 부활한 특별융자(옛 성공불 융자)의 1호 승인사례로 결정됐다. 민간기업의 해외 자원개발 조사신청 건수도 전년 대비 69% 증가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해외 자원개발 특별융자’ 사업을 시행한 후 처음으로 포스코대우의 미얀마 AD-7 광구에 대한 특별융자를 승인했다고 12일 밝혔다.

포스코대우는 지난해 AD-7 광구에서 상업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는 대규모 가스층을 발견했다. 이 광구는 포스코대우가 60% 지분으로 운영권을 보유하고, 호주 최대 석유·가스 탐사업체 우드사이드가 나머지 40% 지분으로 심해시추를 담당하고 있다.


이번 사례는 정부의 민간기업 자원개발 지원제도가 성공불융자에서 특별융자로 바뀐 뒤 첫 집행사례다. 성공불융자는 해외 자원개발 부실 논란과 함께 상환액 감면 조건 등이 논란을 일으키며 지난해 ‘0원’으로 전액 삭감됐다. 새로 도입된 특별융자는 융자지원 비율을 기존 80%에서 30%로 하향 조정하고, 지원받은 융자금 중 30%는 탐사사업이 끝난 후 반드시 상환하도록 했다. 성공시에는 원리금 외에 이익금의 20%를 추가 징수한다. 포스코대우는 200억원 안팎의 융자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산업부는 오는 11월 말까지 모두 15개 탐사사업이 융자를 신청할 계획이며 이외에도 다수 개발·생산사업에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해외 자원개발 투자 여건 조사와 기초탐사 등 투자 결정 전 시행하는 해외 자원개발 조사사업에는 1∼3월 중 27건의 신청이 들어왔다. 전년의 16건보다 68.8% 증가한 수치다.

산업부 관계자는 “특별융자 사업이 적기에 원활하게 기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분기별로 융자심의회를 개최하고 수시로 기업의 애로사항을 듣겠다”고 말했다.

/세종=김상훈기자 ksh25th@sedaily.com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