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中, 美 빠진 TPP에 눈독

中, "TPP 각료회의 참석"

"외교역량 강화 기회로 삼아야"

회원국 이견·中내부 신중론 속

실제 TPP 회원국 동참할지는 미지수

미국의 탈퇴로 동력을 잃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 중국이 눈독을 들이기 시작했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3일 정례브리핑에서 “칠레 정부의 초청에 응해 라틴아메리카 사무 특별대사인 인헝민 대사가 대표단을 이끌고 14∼15일 이틀간 칠레에서 열리는 TPP 각료회의에 참석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각료회의는 탈퇴를 선언한 미국을 제외한 나머지 11개 회원국이 미국이 빠진 TPP의 운영방식을 놓고 논의하는 자리로 비회원국 중에는 중국과 한국이 초청됐다. 일각에서는 중국이 이번 각료회의 참석을 계기로 향후 TPP 회원국 참여 여부를 신중하게 검토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화 대변인는 “이번 회의는 아태지역 협력을 위해 광범위하게 의견을 교환하는 것이지 TPP 회의는 아니다”라며 TPP 참여 여부에 대해서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그는 “중국은 이번 회의가 아태 자유무역구와 아태 개방형 경제 건설, 아태 경제 일체화 추진을 위해 공헌하길 바란다”며 “TPP에 대한 중국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중국은 미국이 주도해 온 다자간무역협정인 TPP를 중국 견제의 틀로 간주하고 대립각을 세워왔다. 중국이 주도해온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도 미국이 이끄는 TPP에 대항하기 위한 카드라는 것이 외교가의 중론이었다.

하지만 중국 일각에서는 미국의 TPP 탈퇴를 계기로 중국이 외교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과 TPP 참가에 힘을 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중국이 TPP에 참여한 뒤 RCEP 회원국까지 아우르는 중국 주도의 아시아태평양자유무역지대(FTAAP) 창설로 이어갈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실제 지난달 호주를 방문한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중국에 대한 TPP 참여 요청에 “중국 주도의 RCEP·TPP와 보다 광범위한 FTAAP를 창설하는 길이 열리게 될 것”이라며 21개국이 참여하는 거대 무역협정인 FTAAP 창설 의지를 확인한 바 있다. 미국의 탈퇴 선언 이후 사실상 와해 위기에 처한 TPP 일부 회원국들도 중국의 참여로 협정이 새로운 추동력을 얻기를 기대하고 있다.

다만 TPP 회원국 사이에서 중국 참여에 대한 이견이 큰 데다 중국 내부에서도 신중론이 적지 않아 중국이 TPP에 힘을 실을지는 미지수다. 칠레와 페루 등이 중국 참가를 적극 요청하는 반면 미국과 함께 TPP를 이끌어온 일본은 중국을 배제한 채 TPP를 지속하자는 입장이며 말레이시아와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도 중국의 영향력 강화를 우려해 중국 참가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중국 내에서도 미국이 주도했던 TPP에 무리하게 참여하기보다 RCEP에 힘을 싣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베이징=홍병문특파원 hbm@sedaily.com

홍병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