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염증성 질환 치료하는 펩타이드 치료제 개발

펩타이드는 TLR4/MD2 복합체와 결합함으로써 원래 TLR4의 리간드인 LPS의 결합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TLR4 신호 전달 경로가 차단된다. /사진=미래창조과학부펩타이드는 TLR4/MD2 복합체와 결합함으로써 원래 TLR4의 리간드인 LPS의 결합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TLR4 신호 전달 경로가 차단된다. /사진=미래창조과학부


류마티스 관절염 등 자가면역질환과 패혈증을 치료하는 치료제가 개발됐다.


최상돈 교수 연구팀(아주대)는 15일 우리 몸에 세균이 침입했을 때 분비되는 면역단백질이 과도하게 분비되는 것을 차단하고, 부작용을 줄이면서 염증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펩타이드 치료제를 개발했다.

관련기사



기본적으로 면역반응은 인간의 몸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하다. 하지만 지나친 면역반응은 각종 염증성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류마티스 관절염 등 자가면역질환은 톨-유사수용체4(TLR4)가 과도하게 반응하여 나타나는 염증성 질환이다. 때문에 이들 염증성 질병은 TLR 신호차단을 통해 증상을 완화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연구팀은 아미노산 12개 및 15개 길이의 다양한 펩타이드 파지 라이브러리를 제조하였고, 바이오패닝(biopanning) 기술로 스크리닝 하여 TLR4에 결합하는 펩타이드를 발굴했다. 연구팀은 스크리닝을 통해 발굴된 펩타이드들이 TLR4의 신호전달경로를 현저히 차단하는 것을 확인했다. 펩타이드의 특성상 먹는 단백질 성분을 사용하여 다른 치료제와 비교했을 때 부작용이 적으며, TLR4를 정확히 찾아가서 차단하는 특이성도 높은 것이 밝혀졌다.

미래창조과학부 기초연구사업, 교육부 중점연구소지원사업,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산업진흥원 질환극복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는 국제적인 학술지 바이오머터리얼스(Biomaterials) 2월 27일자에 게재됐다.

최상돈 아주대 교수/사진=미래창조과학부최상돈 아주대 교수/사진=미래창조과학부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