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LGD 파주 '나노셀 TV 패널' 생산라인 가보니

"5년간 양산 기술 개발 투자… 화질·생산성 두토끼 잡았죠"

정교한 색 표현 가능한 화질 끝판왕

나노셀 공정으로 생산라인 변경 쉬워

올 출시 모델 중 절반에 적용 계획

LG디스플레이 파주 공장 연구원들이 나노셀 TV에 적용되는 편광판을 들어보이고 있다./사진제공=LG디스플레이LG디스플레이 파주 공장 연구원들이 나노셀 TV에 적용되는 편광판을 들어보이고 있다./사진제공=LG디스플레이




지난 17일 경기 파주시 LG디스플레이 파주사업장 P7 공장에 들어서자 LG가 액정표시장치(LCD) 화질의 ‘끝판왕’이라고 자부하는 나노셀 TV용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가 한창이었다. 거대한 로봇팔이 1,950㎜×2,250㎜ 크기의 구리색 유리원판을 쉴새 없이 이동시키고 있었다. 이렇게 옮겨진 유리원판은 43인치 TV용 패널 8장 크기로 잘려진다.

이후 두 장의 유리원판 사이에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액정을 넣어 LCD 패널을 만들고 이 패널에 편광판과 각종 회로 등을 부착하면 LCD 모듈이 완성된다. 이때 LG의 혁신 기술인 나노셀 물질을 편광판에 직접 입힌다. 나노셀은 천연 물질에서 추출한 약 1나노미터(㎚) 크기 미세 분자구조 염료로 색 파장을 나노 단위로 정교하게 조정해 더욱 많은 색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얼핏 단순해 보이지만 이러한 나노셀 기술 양산을 위해 LG전자와 LG디스플레이는 무려 5년의 시간을 투자했고 투자는 성능(화질)과 양산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 성과를 거뒀다.

관련기사



화질의 경우 기존 LCD TV는 빨간색 파장에 노란색이나 주황색 등 다른 색의 파장이 미세하게 섞여 실제와 다른 빨간색으로 보일 수 있지만 흡광 물질인 나노셀은 이러한 노란색과 주황색의 파장을 흡수해 실제와 가장 가까운 빨간색을 만들어준다. 같은 원리로 초록색이나 파란색 등이 순도 높은 고유의 빛을 낼 수 있게 한다. 또 나노셀 TV는 정면에서 볼 때와 60도 옆에서 볼 때의 차이가 적고 화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양도 기존 제품보다 30%가량 줄여 주변이 밝아도 방해를 덜 받게 했다.

양산성을 높인 것도 특징이다. 기존 공정에 나노셀을 추가하는 방식인 만큼 새로운 공정을 추가하거나 제품의 설계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김점재 LG디스플레이 패널개발 담당 상무는 “이론적으로는 현재 LG디스플레이 공장에서 생산하는 모든 디스플레이를 나노셀 디스플레이로 생산할 수 있다”며 “LG전자가 올해 출시하는 30여개 모델의 슈퍼 울트라 HDTV 가운데 절반 이상에 나노셀을 적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파주=신희철기자 hcshin@sedaily.com

신희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