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박 前대통령 구속] 검찰 다음 타깃은 우병우…이르면 내주 소환

인사 개입·세월호 외압 등

전방위 의혹 수사 빨라질 듯

박근혜 전 대통령을 구속하면서 사기를 끌어올린 검찰의 다음 타깃은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검찰 수사에 따른 대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사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30일 사정당국에 따르면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는 최근 우 전 수석이 민정수석으로 재직할 당시 민정수석실 행정관으로 근무했던 검사 2명을 소환 조사했다. 우 전 수석이 눈밖에 난 문화체육관광부 직원을 좌천시켰다는 의혹과 관련해서다.

우 전 수석은 지난 2015년 11월 민정수석실 산하 특별감찰반을 동원해 ‘문체부 공무원 2명을 감찰해 중징계를 받도록 조치하라’고 지시한 의혹을 받고 있다. 이를 거부한 백모 문체부 감사담당관은 특감반의 감찰을 받은 뒤 좌천성 인사까지 당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검찰은 백 감사담당관을 겨냥한 ‘보복성 조치’가 우 전 수석의 지시로 이뤄졌을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을 소재로 한 영화 ‘변호인’을 배급하는 등 정권의 미운털이 박힌 CJ E&M을 고발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공정거래위원회 김모 전 시장감시국장이 좌천됐다는 의혹과 관련해서도 우 전 수석이 배후로 지목됐다. 이 밖에 ‘세월호 수사 외압 의혹’과 관련해 당시 담당검사의 진술서를 받는 등 전방위적인 의혹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

관련기사



검찰은 참고인 조사와 앞선 청와대 민정수석실 등에서 받은 임의제출 자료를 모두 분석한 뒤 이르면 다음주 우 전 수석을 소환할 것으로 점쳐진다.

대기업 수사도 주요한 수사 과제지만 확대보다는 ‘조용한 마무리’ 쪽으로 비중이 실리는 모습이다. 박 전 대통령의 구속으로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금이 뇌물에 해당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렸다. 하지만 검찰은 롯데와 SK 등에 대해 뇌물 혐의를 곧장 적용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검찰은 이들 그룹이 재단에 추가 출연금을 내기로 한 경위 등을 확인한 뒤 다음달 중순 전에 마무리할 방침으로 알려져다.

특수본 수사는 아니지만 의혹의 한 축인 고영태씨에 대한 수사도 여러 방면으로 진행되고 있다. 검찰은 최근 고씨를 소환 조사한 데 이어 고씨의 인천세관장 인사 개입 의혹과 관련해 인천세관 직원들도 소환해 조사했다. 고씨와 관련한 수사는 형사1·7부와 첨단범죄수사1부가 나눠서 진행하고 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