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자체 35%만 행사...식목일 변경 목소리 커진다

지구온난화로 기온 높아져

대부분 지난달에 행사 완료

산림청 "날짜 변경 어렵다"

식목일인 5일 나무 심기 분위기는 예전만 못했다. 서울경제신문 취재에 따르면 전국 17개 시도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이날 식목일을 맞아 나무 심기 행사를 진행한 곳은 충청남도·대전시·경상남도·전라남도·전라북도·세종시 등 6곳. 전체의 35%만 날짜를 지킨 것이다. 반면 제주도·울산시·광주시·경상북도·대구시·부산시·충청북도·경기도 등은 이미 지난 3월에 나무 심기 행사를 완료했으며 인천시와 서울시 역시 이달 1일 식목일 행사를 개최했다.

이에 따라 식목일 날짜를 3월로 옮기는 등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앞서 참여정부와 이명박 정부 때도 식목일 변경안이 국무회의에서 논의되기는 했다. 다만 당시에는 나무 심기 행사만 탄력적으로 운영하되 4월5일이라는 날짜는 역사성과 향후 도래할 남북 통일 시대 등을 고려해 그대로 두기로 했다.


하지만 지구온난화로 기온 상승이 뚜렷해지면서 학계와 묘목 업계 등에서 식목일을 앞당겨야 한다는 주장이 다시 나오고 있다. 1946년 식목일을 처음 지정할 당시 평균기온이 현재는 3월 중순 즈음으로 앞당겨졌고 현재처럼 4월에 심은 나무는 수분 스트레스를 받아 활착률 역시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최근 식목일 분위기 위축도 이를 반영하고 있다.

관련기사



산림청은 여전히 식목일 날짜 변경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기후변화 영향이 있긴 하지만 날짜를 변경할 만큼 영향이 크지 않다”며 “식목일은 단지 기념일로 그대로 두고 2월 말부터 시작되는 나무 심는 기간에 지역 환경을 고려해 나무를 심으면 된다”고 해명했다.

박진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