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주형환 장관 “올해 에너지신산업 기술개발에 7,600억원 투자”

서울경제·에너지기술평가원 공동주최

'에너지 테크플러스 포럼'서 밝혀

"원천기술 확보위해 지원 늘릴 것"





정부가 올해 에너지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공공 연구·개발(R&D) 예산 7,600억원을 투입한다.


주형환(사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1일 서울 서초구 쉐라톤 팔래스 호텔에서 열린 ‘에너지 테크플러스 포럼’에 참석해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비해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저장장치(ESS), 신재생발전뿐만 아니라 이를 활용한 제로에너지빌딩, 스마트홈, 전기차 등 다양한 에너지신산업 분야의 핵심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중장기적으로 긴 호흡을 가지고 집중적으로 투자에 나서겠다”며 “올해 에너지신산업 공공분야 R&D 예산을 지난해보다 36% 늘린 7,600억원을 투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행사는 서울경제신문과 에너지기술평가원이 공동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해 마련됐다. 4차 산업혁명의 격변기에 미래 에너지산업의 비전과 전략, 기술 트렌드를 논의하기 위한 자리로 청정에너지, 전력시장, 에너지신산업 기술융합 등 분야별 산·학·연 전문가 350여명이 참석해 에너지산업의 새로운 비전과 전략을 공유하고 중장기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했다.

관련기사



정부는 향후 5년간 에너지신산업 분야 공공 R&D 투자 예산을 지속적으로 늘려 2021년에는 지난해(5,600억원)보다 2배나 많은 1조1,200억원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또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핵심원천기술에 대한 투자 비중을 현 30%에서 내년 40%로 늘릴 계획이다. 전력·석유·가스 등 전통 에너지산업과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새로운 산업 분야와 융복합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한다는 비전도 제시했다. 초고압직류송배전(HVDC), 신재생·ESS 계통연계 등 에너지신산업 실증프로젝트에도 1,000억원을 지원한다.

주 장관은 “에너지신산업을 우리나라의 차세대 먹거리로 육성하기 위해 규제 완화와 집중지원을 통한 초기시장 창출과 세계일류의 보급기반 마련에 정책적 역량을 집중해 왔다”며 “이제는 원천기술 개발과 핵심기술의 대체를 통한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진정한 승자로 발돋움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우리나라가 에너지신산업의 선도국이 되고 우리 기업들이 미래 에너지 문제의 핵심 솔루션을 가진 글로벌 키플레이어가 될 수 있도록 민·관이 한마음으로 부단히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세종=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