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곰팡이 DNA로 살인 사건 해결…검찰 DNA 과학 수사 방안 연구

사체 부패 정도를 측정하거나 가짜 원료가 섞인 식품을 가려내는 등 DNA 정보를 과학 수사에 적용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대검찰청 산하 국가디지털포렌식센터(NDFC)는 서울 서초동 NDFC 베리티스홀에서 ‘제7회 한국 법생물 연구회’를 개최했다. 이는 생물자원의 빅데이터 분석을 과학 수사에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검찰은 논의된 연구결과를 조만간 실무에 도입해 살인 등 강력사건은 물론 국민 먹거리 보호를 위한 식품사건 등에도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이날 행사에서 참석자들의 주목은 받은 방안 가운데 하나는 흙 속에 서식하는 곰팡이 DNA 정보를 분석, 매장된 사체의 주변 환경과 부패 단계를 추정하는 기법이다. 파리 등 사체 주변의 곤충을 중심으로 하던 기존 방식과 달리 사체 주변 곰팡이의 종류와 변화를 통해 사체 부패 단계를 측정한다. 아울러 식물 DNA ‘바-코팅(Bar-coating) 기법으로 가짜 원료를 섞은 건강식품을 적발하는 방안도 소개됐다. 인삼·백수오 등 식물의 엽록체 DNA 정보를 분석해 진짜와 가짜를 구별하는 기준을 개발하는 것. 이외에도 해양생물 DNA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해 익사체의 최초 익수 지점과 유입경로를 추정하는 방안도 소개됐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