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월수입 172만원…어민의 눈물

4인 가구 최저 생계비보다 낮아

수산업 종사자 60%가 50대이상



수산업 종사자들의 월 평균 임금이 172만원 수준에 그쳐 4인 가구 최저 생계비보다도 낮았다. 또 종사자의 60%가량이 50대 이상으로 고령화 수준도 심각했다. 해외 수산물이 국내 시장을 장악하는 상황에서도 여전히 국내 수산 산업은 영세한 고령 어업인 위주로 발달하는 현실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17일 해양수산부가 발표한 ‘2015년 기준 수산업 실태조사’를 보면 수산업 전체 종사자 수는 수산업 83만여명, 연관산업 32만여명 등 총 104만4,000명이었다. 이들이 벌어들인 총 매출액은 65조9,000억원에 그쳤다.

어업·수산물 가공업 등에만 한정돼 실시되던 실태 조사가 수산물 기자재 산업, 서비스업 등 연관 산업으로까지 확대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수산업 사업체 전체 종사자의 월평균 임금은 172만원에 불과했다. 이는 지난해 4인 가구 최저 생계비인 월 175만원에도 미치는 않는다.

관련기사



업종별로는 어선 건조업(243만원), 기자재업(231만원) 종사자의 소득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가공업(159만원), 서비스업(161만원), 유통업(167만원)은 평균 이하였다. 국내 수산산업이 정체된 사이 가격 경쟁력에서는 개도국에 밀리고 제품 경쟁력에서는 선진국에 밀리는 ‘넛크래커’ 신세가 된 탓이다.

연령대별로 보면 50대와 60대 이상 종사자가 압도적으로 많아 수산업 종사자들의 고령화 현상이 뚜렷하게 확인됐다. 50대는 전체 종사자의 34.2%를 차지했고 60대 이상은 28.3%, 40대 22% 순으로 나타났다. 고령화 현상이 뚜렷한 것은 어업인들의 평균 종사기간은 25.5년으로 긴 반면 신규 유입되는 인력은 부족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신규 인력은 외국인 종사자로 상당 부분 채워졌다. 외국인 종사자 수는 5만6,972명이었다.

고용형태도 불안정한 임시직이 가장 많았다. 임시직은 46.2%에 달했고 상용직(30.5%), 자영업(14%) 등이 뒤를 이었다. 종사자들의 학력 수준은 고졸 이하가 82.3%로 대부분이었고 대학 재학·졸업자는 9.4%였다.

최완현 해양수산부 수산정책관은 “이번 수산업 실태조사는 연관산업을 포함한 수산업 전반의 경영현황을 보여주는 최초의 조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며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정책의 사각지대를 줄이고 수산업의 체계적인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세종=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