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건설업계, 융합형 통합발주 혁신 필요"

최석인 건산연 실장 주장

4차 산업혁명기를 맞아 건설 업계에서도 3D 프린팅이나 증강현실(AR) 등 첨단기술 도입 및 시스템 혁신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어가고 있다.

최석인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기술정책연구실장은 ‘4차 산업혁명과 구매조달 전략’ 리포트를 통해 첨단기술 도입은 물론 이를 제대로 활용할 기반을 조성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17일 강조했다.


현재 국내 건설 업계는 종합건설·전문건설로 나뉘고 기획·시공 등이 분리되는 산업구조가 고착화돼 있다. 이 같은 비효율성을 단숨에 개선할 수 없다면 조달 방식이라도 융합형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다.

관련기사



최 실장은 대표적으로 미국 건설사인 DPR의 기술혁신 사례를 제시한다. 소위 통합발주방식(IPD)으로 기술과 공정을 융합한 조달방식이다. 그는 “DPR사의 경우 자체 기술개발보다는 시장에서 검증된 기술을 빠르게 전사적으로 확대 적용하는 전략을 쓴다”며 “대신 협력사를 포함해 공사에 관련된 전 부서를 프로젝트 시작 전부터 참여시켜 치밀한 검토를 통해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특히 공공부문의 스마트 인프라 공사에서는 민간부문을 끌어들여 운영·유지 효율화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규모 재정투자가 필요한 공공기반시설인 만큼 일정 비율 이상 정부의 참여가 필수적이지만 소프트웨어적인 운영은 민간의 참여로 좀 더 창의적인 형태의 수익구조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

최 실장은 “값비싼 고성능 자재를 도입하거나 프로세스를 바꾸는 등 생산구조 혁신이 빠르게 진행되기 어렵다면 시설 공급이나 구매 조달 방식을 융합형으로 바꿔나가야 한다”며 “공공재원을 통해 인프라를 구축하지만 운영·관리를 민간에 위탁해 자생적인 비즈니스 생태계를 만들어내고 나아가 자산관리 혁신까지 이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