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시대, 국민 89.9% “일자리 줄어들 것”

- 4차 산업혁명은 경제성장 동력 될 것, 하지만 국민 85.3% “빈부격차 심해질 것”

- 정부정책으로 초·중·고 교육혁신, 실업대책 및 복지정책, 새로운 기술 개발 지원 필요

전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이 경제 분야 및 사회전반의 화두로 부각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지난해부터 ‘4차 산업혁명’이라는 담론 확산이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이뤄져왔다. 언론보도와 정책공약에서 언급되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담론은 기술혁명, 경제 성장 동력을 중심으로 구성되고 있지만 사회구조변화, 실업, 교육혁신 등에 대한 담론도 상당수 노출되고 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김병호) 미디어연구센터는 20~50대 성인남녀 1,041명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 정보, 일자리 전망, 필요한 교육 영역, 정책영역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 국민 85.3% “빈부격차 심해질 것”

4차 산업혁명 시기 부의 배분과 일자리 문제에 대해서 응답자들의 부정적인 평가가 일관되게 관찰되었다. 먼저 ‘4차 산업혁명으로 빈부격차가 심해질 것이다’ 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85.3%가 그렇다고 동의했다. 빈부격차가 심해질 것이라는 전망은 남성의 경우 82.2%가, 여성은 88.4%가 동의하고 있어 여성들의 평가가 더욱 비관적이었다.

4차 산업혁명이 미래세대의 일자리를 감소시킬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도 전체 응답자의 83.4%가 동의했다. 앞서와 마찬가지로 미래세대 일자리 문제 역시 학력이 낮을수록, 사회계층 귀속의식 구분에서 하층에 속한다는 응답자 집단일수록 일자리 감소를 더 크게 걱정하고 있었다.



◈ 4차 산업혁명은 경제성장 동력될 것

전체적으로 응답자들의 일자리에 대한 불안감은 높으나, ‘4차 산업혁명은 인류에게 혜택을 줄 것이다’ 라는 질문에 대해 82.6%가 긍정적으로 응답했다.







◈ 일반 시민들의 일자리 사라질 것

관련기사



응답자의 63.7%가 제조업노동자의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 다음으로 은행원, 사무직 노동자 등 사무직 일자리와 판매사원, 택배(배달)기사 등 사무직 일자리와 비교적 단순 노동형태의 직종에 일자리 위협이 발생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 일자리 위협 대비 코딩교육(26.1%)보다 창의력 교육(31.3%)이 중요

4차 산업혁명은 과거의 산업 패러다임과는 다른 지능화, 자동화, 네트워크화 된 산업 환경 구축이 예상되고, 특히 인공지능이 다양한 영역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 대비하여 어떤 영역의 교육이 가장 필요한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창의력 교육 (31.3%), 컴퓨터공학(26.1%), 공학(18.2%), 인문학(11.0%) 등의 순서로 결과가 나타났다.



◈ 4차 산업혁명 대비 정부정책으로 초·중·고 교육혁신, 실업대책 및 복지정책, 기술 개발 지원 필요

4차 산업혁명 시기에 가장 시급한 정부정책에 대한 물음에 응답자들 가운데 4명 중 1명꼴인 23.6%가 초·중·고 교육혁신을 택했다. 실업대책 및 복지 정책이 필요하다는 응답 비율이 21.6%, 새로운 기술 개발 지원 필요성은 19.7%가 선택했다.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