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가계 불황에 외면당한 유기농…생산량 급감

친환경 인증 2010년 116만1,000t→작년 57만1,000t '반토막'

"재배비용 많이 들고 수확량은 적어…판로 확보도 어려워"

가계 불황으로 친환경 농산물 수요 줄어들어 /서울경제DB가계 불황으로 친환경 농산물 수요 줄어들어 /서울경제DB


‘웰빙’(Well-being) 열풍으로 호황을 누리던 유기농 농산물의 인기가 시들해졌다. 계속된 불황에 생활의 여유가 사라지면서 친환경 농산물 수요가 급속히 줄어든 탓이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 따르면 친환경 농산물 인증 제도 시행 첫해인 1999년 친환경 농산물 생산량은 1만8,794t에 불과했으나 2008년 66만9,242t, 2009년 98만8,740t으로 꾸준히 증가하며 2010년 116만1,819t에 달했다. 친환경 인증 제도 시행 이후 11년 만에 무려 61.8배나 급증한 것이다.


하지만 2010년을 정점으로 친환경 인증을 받은 농산물 생산량은 줄어들기 시작했다. 2011년 110만3,105t으로 소폭 떨어지더니 지난해 57만1,217t으로 급감했다. 이는 2010년의 반 토막 수준이다.

품목별로 보면 쌀을 비롯한 곡류는 2010년 19만1,755t에서 지난해 23만3,403t으로 21.7% 증가했지만, 나머지 품목은 대부분 감소했다.

친환경 인증 생산물이 가장 큰 폭으로 준 것은 채소류다. 같은 기간 채소류 57만7,892t에서 14만5,851t으로 74.8%(43만2,041t) 감소했다. 감자·고구마 등 서류는 4만2,322t에서 1만6,100t으로 62%(2만6,222t), 특용작물은 16만3,769t에서 12만854t으로 26.2%(4만2,915t), 과실류는 4만8,489t에서 4만4,961t으로 7.3%(3,528t) 줄었다.


친환경 농산물 인증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농민들의 신청을 받아 1년 단위로 내주고 있다. 생산량 급감은 친환경 인증을 받으려는 농민이 줄었다는 것이다. 친환경 제품의 가격은 일반 제품보다 비싸다. 5㎏을 기준으로 할 때 유기농 사과 가격은 일반 사과보다 3∼4배 비싼 10만원이다. 유기농 브로콜리 값은 개당 4,500∼5,000원이다. 1,000∼1,500원 하는 일반 브로콜리보다는 훨씬 비싸다.

관련기사



친환경 농산물을 재배하는 농민들이 일반 농산물 재배 농민보다 훨씬 나을 것 같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유기질 비료나 친환경 농약 가격이 일반 제품보다 5배 이상 되며 같은 면적에서 같은 작목을 재배해도 수확량은 일반 비료·농약을 줬을 때의 60∼70%에 그친다. 상품성이 있는 농산물을 골라내면 20∼30% 건지기 일쑤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올해 80억원을 투입, 유기농 자재 지원 사업을 하고 있다. 농민은 50%의 돈만 내고 유기질 비료·농약 등을 살 수 있지만 여전히 일반 비료·농약보다 비싸 수익으로 연결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직접 원료를 사 유기질 퇴비를 만들 수 있지만 그 비용이 만만치 않고 제조 과정에서 품이 많이 들기 때문에 선뜻 퇴비 제조에 나서는 농가를 찾아보기 힘들다. 충북에서 유기농 사과를 생산하는 한 농민은 “수확량이 적고 크기도 일반 사과보다 작을 뿐만 아니라 빚깔도 농약을 주고 키운 사과보다 좋지 않아 판로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고 털어놨다.

마트를 찾는 주부들도 유기 농산물을 유심히 보다가도 표시된 가격을 본 뒤에는 슬그머니 일반 농산물로 자리를 옮긴다.

주부 이모(46)씨는 “일반 농산물도 철저한 품질 검사를 거쳐 시판되는 만큼 가계부 쓰기 빠듯한 처지에서 이보다 3∼4배 비싼 유기 농산물을 구입하는 것은 사치 같다”고 말했다.

충북도 한 관계자는 “벼는 그나마 수월한 편이지만 친환경 농법으로 농사를 짓다가 중도 포기하는 농민들이 적지 않다”며 “예산이 빠듯하기는 하지만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