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보험

은행 창구 막힌 MG 손보, 카드사와 제휴 '우회 전략'

RBC비율에 銀서 저축성판매 제한

카드사와 보장성 판매 제휴 나서

"재무건전성 부실 업체 꼼수" 시선도



최근 지급여력(RBC) 비율이 낮다는 이유로 은행들로부터 고액 저축성 보험 판매를 제한당한 MG손보가 삼성카드·신한카드와 판매제휴를 맺는 등 ‘우회 전략’을 택하고 있다. 카드사들도 가맹점 수수료 인하 압박, 인터넷전문은행의 결제 시장 진출 가능성 등 예고된 악재가 많아 신규 수익원 확보 차원에서 후발 보험사와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져 속도를 내는 분위기다.

25일 보험·여신업계에 따르면 MG손보는 이날 신한카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올댓쇼핑’의 보험몰을 통해 운전자보험 판매를 시작했다. 지난 2월 말 삼성카드 다이렉트 보험몰에 2030 전용 생활보험을 올린 데 이은 카드사 온라인 보험몰과의 두 번째 제휴다. MG손보는 최근 RBC 비율이 권고 기준인 150% 아래로 떨어지면서 시중은행 창구를 통한 저축성 상품 영업이 어려워지자 카드사라는 새 판매 채널에서 보장성 상품을 판매하는 방식으로 돌파구 찾기에 나섰다.


이달 초 문을 연 신한카드의 모바일 앱 올댓쇼핑 보험몰에는 MG손보에 앞서 삼성화재·현대해상·KB손보·신한생명·라이나생명 등도 먼저 입점해 자동차·운전자·질병·상해·여행·펫 등의 보장성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관련기사



업계에서는 카드사와 보험사의 제휴, 특히 온라인상에서의 제휴가 앞으로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보험사들은 ‘방카슈랑스(뱅크+인슈어런스)’라는 용어가 있을 정도로 그간 은행을 핵심 제휴 파트너로 여겨왔다. 은행은 보험 판매를 통한 수수료 수입 증대, 보험사는 자산 규모 확대라는 ‘윈윈(win-win)’이 가능해서다. 하지만 오는 2021년 국제회계기준(IFRS17)이 도입되면 기존의 윈윈 전략은 효력을 잃게 된다. 은행을 통해 판매되는 상품은 거의 저축성인데 IFRS17 환경에서는 저축성을 많이 팔수록 보험사의 재무건전성이 악화되기 때문이다. 보험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를 막기 위해서는 은행들이 저축성 상품 대신 보장성 상품을 팔아줘야 하는데 판매 수수료가 낮다는 이유로 보장성 상품은 취급하지 않으려 한다”고 설명했다.

결국 보험사 입장에서는 ‘박리다매’로라도 보장성 상품을 팔아줄 새 판매 채널이 필요한데 그 대안으로 카드사가 주목받고 있다. 온라인 보안성이나 시스템·보유고객 등의 면에서 매력적이기 때문이다. 카드사 역시 금융 시장 환경 변화와 정책적 압박으로 신규 수익원 발굴이 시급한 상황이어서 보험사와 제휴에 적극적이다. 신한카드의 한 관계자는 “고객들이 보험료를 산출만 해봐도 보험사로부터 수수료를 받을 수 있고 보험사는 다른 채널에 비해 낮은 비용으로 계약자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에게 도움이 된다”며 “고객들의 이용률과 실적 추이를 살펴본 후 제휴 보험사를 더 늘려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재무건전성이 부실해 은행을 통한 판매가 중단된 MG손보 등의 블랙리스트 업체들이 수익 다변화를 노리는 카드사와 손을 잡는 꼼수를 부린 게 아니냐는 곱지 않은 시각도 있다.

/정영현·조권형기자 yhchung@sedaily.com

정영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