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한은 "美 금리인상에 기계적 대응 않겠다"…기준금리 동결

새 정부 첫 금통위서 연 1.25%로 묶어

11개월째...美 보유자산 축소엔 경계

이주열(왼쪽)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주열(왼쪽)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은행은 새 정부 출범 이후 첫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1.25%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한은은 25일 이 총재 주재로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에서 동결했다. 금통위원 전원일치였다. 이에 따라 기준금리는 지난해 6월 연 1.5%에서 1.25%로 내려간 뒤 이달까지 11개월째 같은 수준에 묶이게 됐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역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현재 수준도 충분히 완화적”이라며 “미국의 금리 인상에 기계적으로 대응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묶은 데는 새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 속도와 효과를 확인할 필요성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날 금통위는 통화정책 방향 결정문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추이, 주요국과의 교역 여건, 새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 가계부채 증가세, 지정학적 리스크 등을 면밀히 점검해나갈 것”이라고 명시했다.

관련기사



그러나 한은은 양적완화 기조를 되돌리며 통화정책 정상화에 나설 미 연준의 움직임에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4일(현지시간) 공개된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5월 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미 연준은 오는 6월 금리를 올릴 예정이다. 나아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양적완화 과정에서 9배까지 사들인 채권 축소를 연내 시작한다는 데도 공감대를 이뤘다. 이에 따라 한미 간 금리역전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하지만 한은 내부적으로 큰 우려는 하지 않고 있다. 이 총재는 “미 연준의 6월 금리 인상은 이미 시장에서 채권 가격에 반영돼 있어 우리 통화정책 기조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미 연준의 보유자산 축소에 대해서는 경계감을 드러냈다. 이 총재는 “미 연준이 4조5,000억달러까지 늘어난 보유자산 정리에 나설 경우 (한국 포함) 신흥국 입장에서는 대외금리차 축소로 자금유출 우려가 있다”고 예상했다.

빈난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