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市·SH·상인 합심...가든파이브 9년만에 부활 날갯짓

준공 후 금융위기 탓 절반 텅텅

SH, 대형 임차인 적극 유치하고

영세상인 재정착 지원 등 앞장

서울시도 TF꾸려 관리방식 개선

상생형 현대시티몰 들어서며 활기

서울 송파구 문정동 가든파이브가 현대시티몰 개장으로 활기를 띠고 있다. 지난달 말 개장한 현대시티몰 가든파이브점 외관.  /사진제공=SH공사서울 송파구 문정동 가든파이브가 현대시티몰 개장으로 활기를 띠고 있다. 지난달 말 개장한 현대시티몰 가든파이브점 외관. /사진제공=SH공사




송파구 문정도 가든파이브 전경.  /사진제공=SH공사송파구 문정도 가든파이브 전경. /사진제공=SH공사


서울 송파구 문정동의 ‘가든파이브’가 지난달 말 현대시티몰 개장을 계기로 서울 동남권의 쇼핑 랜드마크로 거듭나고 있다. 지난 3월 서울 동부지법·동부지검이 입주한 문정지구와의 시너지 효과까지 더해지면서 2008년 준공 이래 줄곧 절반 이상 비어 있던 침체의 그늘에서 완전히 벗어난 모습이다.

현대백화점이 직접 운영하는 현대시티몰은 가든파이브 라이프동에 총 영업면적 4만8,863㎡ 규모로 조성됐다. 특히 아웃렛·전문몰을 결합한 국내 최초 ‘상생형 쇼핑몰’로서 눈길을 끌고 있다. 1,300개 점포주들과 일정 이상 매출액 발생 시 이익을 공유하고 인근 문정동 로데오거리의 상점과는 브랜드 중복을 최소화하기로 약속했기 때문이다.


또 매출액이 늘어날수록 임대료율을 올리게 되며 매출액의 일정 부분은 임차료 명목으로 중소상인들에게 지급하기로 했다. 현대백화점은 오픈 후 1년간 매출 2,200억원, 3년차에 3,000억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가든파이브 조성 공사 및 관리를 맡은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도 현대시티몰 입점으로 라이프동의 계약률이 95%에 이르면서 1,000여명의 일자리 창출과 3,000억원 이상의 연간 매출액 신장을 기대하고 있다.

가든파이브가 이처럼 활기를 찾을 수 있었던 것은 서울시와 SH공사, 그리고 가든파이브 상인회가 합심했기 때문으로 평가된다.


가든파이브는 1999년 서울시가 4대 생활권에 지역거점형 유통단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2002년 동남권유통단지 기본계획이 수립되면서 시작됐다. 여기에 2003년 청계천 복원사업에 따라 그 일대 상인들이 이곳으로 옮기게 되면서 SH공사도 건설원가 특별분양, 전매제한 완화 등 청계천 상인에 대한 지원에 적극 나서게 됐다.

관련기사



하지만 입주 시점인 2008년 세계 금융위기가 겹치며 계획이 틀어졌다. 계약 예정이던 6,097곳 중 절반 이상이 계약을 포기했고 일반인 분양에도 나섰지만 2009년 말까지 전체 8,370곳 중 절반도 계약하지 못했다. SH공사는 상권을 살리기 위해 2010년 이랜드리테일의 NC백화점을 라이프동에 유치하고 이마트·엔터식스 등 대형 임차인을 적극 유치했다. 그럼에도 라이프동 외에는 여전히 매장 3분의1가량이 비어있었다.

전기가 된 것은 2011년 12월 박원순 서울시장의 방문이었다. 이후 시·SH공사·민간전문가 등이 모인 가든파이브 활성화 태스크포스팀(TFT)이 구성됐고 상인들까지 참여하는 토론회·워크숍 등이 이어졌다. 결론은 타임스퀘어·아이파크몰·코엑스몰 등처럼 초대형 전문상가에 걸맞은 관리방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다만 가든파이브는 특성상 입점상인과 구분소유자 등의 참여를 전제로 했다.

방향은 제대로 잡았지만 충분한 동의를 얻는 데 시간이 걸렸다. 2013년 말 현대백화점을 유치했지만 다시 1년 후까지 동의율은 76%에 그쳤다. 또 2014년부터는 인근 문정동 로데오 상인들과 상권침해 문제로 갈등을 빚었다. SH공사는 중소기업청·국회의원·시의원 등에 중재를 요청하고, 입점 상인들을 위한 대체 영업공간, 재정착 영업지원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번 개장 후에도 영세상인에게는 지속적인 지원이 이어진다. SH공사는 ‘공유 유통플랫폼’을 설치해 온·오프라인 창업교육 및 마케팅을 지원한다. 또 늘어난 유동인구 효과를 영세상인도 누릴 수 있도록 점포디자인 개선과 서비스 품질 개선 등 영업환경을 대폭 개선하도록 도울 계획이다.

이재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