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檢 개혁 파트너 검찰총장…파격보다 ‘안정형’ 택하나

非검찰 출신 법무장관 인선에

개혁·조직안정 두토끼 가능한

사법연수원 17~18기 하마평

소병철소병철




김희관 법무연수원장김희관 법무연수원장


차기 검찰총장 인사가 파격보다는 내부 안정을 도모하는 데 초점이 맞춰질 수 있다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비(非)검찰 출신 법무부 장관 후보자인 안경환(69) 서울대 명예교수가 인사청문회를 통과하면 조국(52) 청와대 민정수석과 호흡을 맞춰 검찰 개혁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검찰 조직을 추스를 수 있는 인사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문무일문무일


오세인 광주고검장오세인 광주고검장


12일 법조계에 따르면 차기 검찰총장 후보 기수로 사법연수원 17~18기가 점쳐지고 있다. 이들은 김수남(58·사법연수원 16기) 전 총장과 신임 봉욱(52·19기) 대검 차장 사이 기수다. 검찰 안팎에서는 새 정부가 검찰 개혁과 조직 안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서는 이들 17~18기에서 검찰총장에 임명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현재 17기 가운데서는 기획과 공안 분야에 정통한 김희관(54) 법무연수원장이 물망에 오른다. 김 연수원장은 법무부 검찰2과장과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장, 대검 공안기획관, 법무부 기조실장 등 주요 핵심 보직을 두루 거쳐 조직생리를 잘 파악하고 있는 인물로 꼽힌다. 18기 중에서는 ‘성완종 리스트’ 특별수사팀장 등을 지낸 문무일(56) 부산고검장과 공안통으로 대검 기조부장, 대검 반부패부장 등을 역임한 오세인(52) 광주고검장이 후보군으로 꼽힌다. 문 고검장은 특수부에서 잔뼈가 굵은 특수통이다. 오 고검장은 기획, 범죄정보, 특수 등 다양한 분야를 경험했다는 강점을 갖고 있다.

관련기사



검찰 외부에서는 법무연수원장을 지낸 뒤 후학 양성에 전념한 소병철(59·15기) 농협대 석좌교수가 거론되고 있다. 매번 검찰총장 후보군으로 꼽히는 소 교수는 검찰·법무 주요 보직을 두루 거친 인물로 철저한 자기관리와 꼼꼼한 일 처리로 정평이 나 있다.

한 법조계 관계자는 “앞으로 검찰총장 인선에서는 외부 충격에 흔들릴 내부 조직을 제대로 추스를 수 있는지가 관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상 유례없는 검찰 개혁이 예고되는 만큼 내부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인물이 검찰 수장으로 오를 것이라는 분석이다. 아울러 법무부 장관 후보자인 안 교수가 경남 밀양 출신으로 이른바 ‘PK(부산·경남)’ 인사라는 점에서 출신 지역도 검찰총장 인선에 변수로 꼽히고 있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