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실크 단백질로 광학 인공생체조직 개발했다

누에고치에서 추출한 실크 단백질에 광중합 반응을 거쳐 3차원 광자 결정 소자를 만들었다. 제작된 소자는 습윤한 환경에서 수분을 머금어 늘어남, 구부림, 눌림과 같은 다양한 외력에 변형되면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한다./사진제공=한국연구재단누에고치에서 추출한 실크 단백질에 광중합 반응을 거쳐 3차원 광자 결정 소자를 만들었다. 제작된 소자는 습윤한 환경에서 수분을 머금어 늘어남, 구부림, 눌림과 같은 다양한 외력에 변형되면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한다./사진제공=한국연구재단


인체친화적이고 유연한 안구용 나노광학소자가 최초로 개발되었다.

한국연구재단은 김성환 아주대 교수 연구팀이“누에고치에서 추출한 천연 실크 단백질을 활용하여 생체 조직과 유사한 물성을 가진 무해하고 안구에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3차원 광자결정 소자를 최초로 개발하였다.”고 22일 발표했다.


광자결정이란 빛을 컨트롤하기 위해 굴절률이 서로 다른 물질들이 주기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구조를 말한다.

최근 인체 조직에 부착하거나 삽입 가능한 광학 소자 및 전자 소자 연구가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누에고치 단백질은 생체친화적이고 물리적·화학적 물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최근 주목 받는 바이오 고분자 소재이다. 그러나 이 천연 단백질을 활용하여 인체조직에서 작동하는 소자를 구현하는 것은 어려웠다.


연구팀은 스틸벤 염료를 실크 피브로인 단백질 수용액에 혼합한 뒤 자외선 광중합 반응을 통해 유연한 실크 단백질 기반의 3차원 광자결정을 만들었다. 이 광자결정 구조는 생체 조직과 이질감 없이 결합할 수 있다. 왜냐하면 습윤한 환경에서 물에 녹지 않으면서 수분을 머금고 있어 구부려도 원래 모양대로 되돌아오며. 유연하면서 물에 녹지 않는 특성 때문이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또한 실크 유연 광소자가 안압을 무선으로 감지하는 압력 센서로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외부의 힘에 의해 변화하는 소자의 광밴드갭을 간단한 광학 장비로 원격 측정해서 파동 변화를 실시간으로 탐지할 수 있음을 보였다. 광밴드갭이란 광자결정 구조 내부에서 빛이 진행 및 통과할 수 없는 파장 대역이다.

이 광학소재는 시력 향상용 안구 삽입체로도 사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실크 광자결정 유연 소자가 야행성 동물의 망막 뒤 반사체와 같이 안구 외부로 빠져 나가는 빛을 내부로 재 반사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망막을 투과했던 빛이 다시 시각 세포로 돌아와 시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김성환 교수는 “생체 조직과 결합할 수 있는 나노광학 소자를 최초로 개발했다”면서 “안압의 무선 광신호 측정, 시력 향상용 안구 삽입체 등 다양한 헬스케어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미래창조과학부·한국연구재단 X- 프로젝트지원사업, 교육부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종합과학기술분야 국제학술지인 미국국립과학원 회보(PNAS) 6월 13일자 논문으로 게재됐다.

김성환 아주대 교수/사진제공=한국연구재단김성환 아주대 교수/사진제공=한국연구재단


민경택 아주대 박사/사진제공=한국연구재단민경택 아주대 박사/사진제공=한국연구재단


김숙영 아주대 석사과정생/사진제공=한국연구재단김숙영 아주대 석사과정생/사진제공=한국연구재단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