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내 100대 기업, 경영활동 보수화 …불확실성에 투자 대신 ‘빚 갚는다’

국내 100대 기업이 최근 3년간 늘어난 현금을 빚 갚는 것에 더 쓴 것으로 전해졌다.

25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주요 기업 현금흐름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유가증권시장 상위 100대 기업(비금융 상장사, 2016년 매출액 기준)의 영업활동 현금유입 규모는 2014년 116조원에서 2015년 164조원, 2016년 171조원으로 계속 늘었는데, 이들 기업의 매출액은 2013년(1천500조원)을 기점으로 2014년(1천490조원)과 2015년(1천470조원) 연속 하락하다가 지난해 1천532조원을 기록하며 1천500조원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기업들이 마이너스 성장에서 탈피하고 영업활동의 현금흐름이 좋아진 것에 비해 투자활동 현금유출 규모는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분석됐다.

관련기사



100대 기업의 투자활동 현금흐름을 살펴보면 2013년 약 146조원이던 현금 유출은 2014년 17% 가량 감소한 121조8천억원으로 줄었는데, 이는 2015년 121조9천억원, 2016년 122조8천억원 등 3년 연속 120조원 초반 수준으로 유지된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들의 이와 같은 경영활동 보수화 움직임에 대해 전문가들은 매출 정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저성장이 장기화하고 미국 금리 인상, 북핵 문제 등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여전하자 기업들이 투자 확대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장기적 성장 기반을 마련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는데, 다만 올해 1분기 기업들의 실적과 투자가 개선된 점은 긍정적인 점으로 평가됐다.

한편 전문가들은 기업의 투자 여력 회복세가 장기화되기 위해서는 투자, 고용, 성장의 선순환이 이뤄지도록 불확실성을 줄이는 환경을 조성해줘야한다고 제언했다.

김경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