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KBSI, 노로바이러스 진단 기술 美기업에 이전

최종순(왼쪽 세번재부터) KBSI 부원장, 권요셉 KBSI 생물재난연구팀장, 이광식 KBSI 원장, 문기석 전남대 국제협력본부장, 마틴 오코너 저메인랩 대표, 김두운 전남대 교수가 기술 이전 협약식에서 화이팅을 외치고 있다/사진제공=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최종순(왼쪽 세번재부터) KBSI 부원장, 권요셉 KBSI 생물재난연구팀장, 이광식 KBSI 원장, 문기석 전남대 국제협력본부장, 마틴 오코너 저메인랩 대표, 김두운 전남대 교수가 기술 이전 협약식에서 화이팅을 외치고 있다/사진제공=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이 개발한 노로바이러스 고속 진단기술이 미국기업에 기술 이전됐다.

KBSI는 6일 전남대학교 친환경농업연구소에서 이광식 KBSI 원장과 미국의 의료전문기업인 저메인랩사의 마틴 오코너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기술이전 협약식을 개최했다.


기술이전하는 기술은 대표적인 식중독 바이러스인 노로바이러스를 신속농축 하여 진단하는 기술로 계약금 3억 원과 경상 기술료로 매출액의 6%를 받는 조건이다.

권요셉, 최종순 KBSI 생물재난연구팀 박사가 전남대 김두운 교수팀이 공동으로 개발한 이 기술은 국내 작두콩에서 추출한 천연단백질을 이용해 식품 내 노로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신속히 진단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기술로 만든 노로바이러스 진단키트는, 종전 최소 4시간 이상 걸리던 바이러스 농축시간을 15분 이내로 단축할 수 있는데다가 검출 한계도 최고 100배까지 향상 시킬 수 있다. 이 기술은 2014년 국내 중소기업인 (주)솔젠트에 기술 이전 돼 아시아지역(일본 제외)에 대한 판권을 제공하여 노로바이러스 진단 키트의 상용화 단계에 있다. 저메인랩은 미국, 일본, 유럽, 남미 지역에 대한 실시권을 갖게 된다.


노로바이러스 진단기술이 사업화 되면 신선 식품의 손실 방지 뿐 아니라 학교 등 집단 급식시설에서의 식중독 사전예방 등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연구팀은 2016년 발표한 자료에서 전세계적으로 노로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생산 손실 및 의료비가 매년 약 75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우리나라에서도 2013년 수출용 굴의 노로바이러스 감염으로 800억 원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 바 있다.

연구팀은 올 4월 세계최초로 작두콩 단백질이 인체감염형 노로바이러스에 결합하는 원리를 증명해 관련 분야 세계적인 학술지인 바이오머티리얼지에 게재한바 있다.

권요셉 KBSI 생물재난연구팀장은 “감도 문제로 고전하던 미국 신속 진단 키트의 단점을 우리 기술로 극복해 식중독 사전 예방에 큰 전기를 마련했다”면서 “향후 조류독감 등 사회적 파급이 큰 바이러스로 연구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