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군자 할머니 별세

日 제대로 된 사과 받지 못한채 세상 떠나

일본군 위안부 피해 생존자 37명으로 줄어

미국 뉴저지주 버겐카운티 한인회가 지난 19일(현지시간) 클리프사이드파크 인근 트리니티 에피스코발 성당 앞 정원에 설치한 위안부 기림비. /연합뉴스미국 뉴저지주 버겐카운티 한인회가 지난 19일(현지시간) 클리프사이드파크 인근 트리니티 에피스코발 성당 앞 정원에 설치한 위안부 기림비. /연합뉴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김군자 할머니가 향년 89세의 나이로 23일 오전 8시 4분 별세했다.

경기도 광주 나눔의 집에 따르면 김 할머니는 강원도 평창에서 태어나 17살의 나이로 중국 지린성 훈춘 위안소로 강제동원됐다. 강제동원 이후 생사를 건 탈출 시도는 번번이 실패했고, 김 할머니는 그때마다 구타를 당해 평생 왼쪽 귀가 들리지 않은 상태로 지내왔다. 3년간의 위안부 생활 동안 7차례나 자살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할머니는 지난 2007년 2월 미국 의회의 일본군 위안부 청문회에서 “해방 후 38일을 걸어서 조국에 돌아왔다”며 “위안소에서 하루 40여 명을 상대했고 죽지 않을 만큼 맞았다”고 증언했다. 일본 정부로부터 제대로 된 사과를 받는 것이 소원이었던 할머니는 배상을 받으면 사회에 기부할 계획이었다. 한국 정부로부터 받은 배상금 등을 모아 아름다운 재단·나눔의 집과 천주교 단체 등에 2억 6,000여만 원을 기부한 바 있다.

관련기사



김 할머니의 빈소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차병원 지하 1층 특실에 차려졌다. 발인은 25일이며 장지는 나눔의 집 추모공원이다.

한편, 김 할머니의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38명 가운데 생존자는 37명으로 줄었다.

조교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