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박용만 “일자리 숫자만 집착하면 미래 산업 어려워져”

이용섭(오른쪽)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과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8일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차 일자리위 전체회의에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송은석기자이용섭(오른쪽)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과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8일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차 일자리위 전체회의에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송은석기자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8일 “일자리 숫자에만 너무 집착하면 미래지향적 산업이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라고 우려했다.


박 회장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차 일자리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국제사회와의 경쟁이나 산업 정책도 감안해가며 일자리 정책을 추진했으면 좋겠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관련기사



그는 “지켜야 할 원칙과 넘어야 할 현실 두 가지를 잘 감안해줬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일자리위원회는 기술집약적 산업들이 일자리 정책으로 인해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다는 우려에 대해 “과도한 우려”라고 선을 그었다.

이호승 일자리위원회 기획단장은 “일자리 효과를 측정할 때 직접적인 인건비로 지출해 생기는 효과뿐 아니라 그것이 투자, 소비로 순환하며 생기는 간접적 일자리, 연구개발(R&D)처럼 자본집약적 지출이 이뤄지고 장기적으로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효과까지 같이 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단장은 “(일자리 창출 평가를) 너무 머릿수를 세는 방식으로 하면 질이 떨어질 수도 있다”라며 “임금이 낮거나 저급 인력을 써서 일자리만 늘리지 않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