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기초생보 재원은]2020년까지 4조 3,000억...2022년까지 9조 5,000억원 투입

완전 폐지시 연 10조들지만 의료급여 등 소득하위 70% 제한 두며 재원 줄어

정부 예산으로 지원

아동수당 도입·기초연금 인상 더해져 내년 복지예산 140조 내외 전망

정부의 기초생활보장 종합계획으로 2020년까지 4조 3,000억원, 2022년까지는 9조 5,000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지난 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사전 브리핑에서 배병준 보건복지부 복지정책관은 “2020년까지 3년간 지방비를 포함해 4조 3,000억원이 들어가고 2022년까지는 9조 5,000억원이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2020년까지 필요한 4조 3,000억원 중 중앙정부에서 나가는 돈은 3조 5,000억이며 지방정부에서 8,000억원이 나갈 전망이다. 이는 지난달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발표한 178조원의 필요 재원에 대부분 포함되는 것이다.


다만 이는 문재인 대통령 공약처럼 부양의무자 기준을 완전 폐지한 것보다는 돈이 덜 드는 것이다. 국회예산정책처는 부양의무자 기준을 완전 폐지하면 매년 10조원의 돈이 필요하다고 분석한 바 있다. 복지부의 이번 계획에 따르면 3년간 4조 3,000억원이기 때문에 1년에 1조 4,000억원 꼴이다. 이와 관련 복지부의 한 관계자는 “재원은 의료급여가 많이 들어가는데, 의료·생계 급여는 소득하위 70%로 부양의무자 폐지 대상자를 한정해 재원이 완전폐지했던 것보다는 덜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복지부는 이번 발표에서 주거급여는 부양의무자 기준을 내년 10월부터 완전 폐지하기로 했지만 생계·의료급여는 올해 11월부터 2022년 1월까지 단계적으로 폐지하며 부양의무자 가구가 중증장애인, 노인을 포함하더라도 소득 하위 70% 이상이면 부양의무를 그대로 지게 설계했다.

관련기사



기초생보는 관련 기금이 없기 때문에 중앙정부 예산으로 집행된다. 3년간 3조 5,000억원 정도로 예상돼 내년부터 복지 예산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400조 5,000억원의 우리나라 예산 중 복지는 129조 5,000억원으로 전체의 32.3%에 달했다. 증감률은 4.9%로 전체 예산증감률(3.7%)을 훌쩍 넘었다. 여기에 기초생보 확대분이 들어가고 아동수당과 기초연금 인상 등도 내년 복지 예산에 포함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유세과정에서 매년 예산 증가율을 7%로 가져가겠다고 밝혔으며 국정기획자문위원회도 2018년 예산 증가율을 7%로 잡았다. 복지예산 증가율은 이를 뛰어넘는다고 가정하면 내년 복지 예산은 140조원 내외를 나타낼(7%로 가정할 시 138조 6,000억원) 것으로 예상된다.

/세종=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