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서울경제TV] 공정위 칼날에 프랜차이즈업계 자정 잰걸음

최영홍 교수 필두로 프랜차이즈 혁신위 발족

프랜차이즈, 로열티 제도로 수익구조 바꿔야

“오너리스크 피해 방지 법적제도 마련할 것”

가맹점주 빠진 혁신위… “제대로 개혁할까”



[앵커]

공정거래위원회가 프랜차이즈 본부의 갑질을 송두리째 뿌리뽑겠다고 나선 가운데 프랜차이즈 업계가 김상조 위원장이 요구한 10월까지 자정안을 마련하는데 분주합니다. 오늘 프랜차이즈협회에서 혁신위원회를 발족했는데요. 제대로된 상생안을 내놓을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립니다. 이보경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이 못박은 최후의 자정 기간 10월.

프랜차이즈업계는 이 기한에 맞춰 자정안을 마련하기 위해 분주합니다.

어젯밤까지 필수품목의 원가와 공급가 자료 등을 모두 제출받는 등 지금도 프랜차이즈 업계를 향한 공정위의 칼날은 더 날카로워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프랜차이즈 본부가 모인 프랜차이즈협회는 혁신위원회를 꾸려 자정안 마련에 나섰습니다.

한국프랜차이즈 협회는 오늘 ‘1호 유통학 박사’로 알려진 최영홍 고려대학교 로스쿨 교수를 필두로 전문가 9명으로 구성된 프랜차이즈 혁신위원회를 출범했습니다.


최위원장은 프랜차이즈의 기본으로 돌아가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관련기사



식재료나 원재료에서 이익을 남기는 현행 방식 대신 브랜드 로열티를 받는 수익구조로 바꾸 겠다는 겁니다.

[녹취] 최영홍 / 프랜차이즈협회 혁신위원회 위원장

“기존의 물류 마진을 통해서 로열티를 징수하는 방법. 그 사이에서 부당한 명목으로 돈을 뜯어내는 이런 것은 막아야겠다는 것이죠.”

“적어도 자기가 1~2년 정도는 사업을 해보고 나서 그 성과에 기해서 프랜차이즈 사업을 전개해야지…”

또 오너리스크에 따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법적제도 마련도 모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오늘 출범한 프랜차이즈 혁신위원회에는 학계,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법조계, 언론 등 유통 관련 전문가들이 모였지만 논의의 중심에 서야할 가맹점주 관계자나 본사 관계자가 빠져있어 현장의 목소리를 제대로 담은 대책을 내놓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우려가 벌써부터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이창훈 / 영상편집 소혜영]

이보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