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청년단체 "블라인드채용 '역차별' 우려...산업군별 차별 필요"

청년이여는미래 '블라인드채용 트렌드 리포트' 발간

'공정채용' 취지 불구 개인 성실함,차별성 희석 우려

산업군별 차별화와 지역인재 할당비율 조정 필요 지적

학벌이나 스팩을 보지 않고 인재를 뽑는 ‘블라인드 채용’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가운데 취업준비생들 사이에서 역차별 우려에 대한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청년단체인 청년이여는미래는 18일 ‘블라인드채용 트렌드 리포트’를 통해 “공공기관등이 채용에 대한 확실한 기준을 주지 않으면 취업 현장의 취준생들에게는 혼란을 줄 수 있다”며 “신중하고 면밀한 검토와 사후관리를 통해 사회적, 경제적 후과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새 정부 들어 공공기관들은 직무에 필요한 능력을 순수하게 평가하기 위해 사진이나 외국어성적, 자격증 등 스펙은 배제하고 이름과 연락처, 생년월일에 각 사별로 요구하는 주제에 맞는 기획서 등을 통한 블라인드 채용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하지만 이번 보고서는 이같은 시도에 대해 ‘학벌사회를 바꿀것’이란 기대와 달리 그동안의 노력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는 ‘역차별’ 가능성에 대해서도 지적하고 있다.

관련기사



보고서는 “블라인드 채용은 복면가왕을 뽑는 것이 아닌 만큼 구직자의 장점을 가릴 수도 있다”며 “기업이 원하는 이력과 능력이 천차만별인데 채용 이력서를 획일화하는 것은 의문스러운 만큼 산업군에 따라 차이를 두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최종학력과 학점을 배제하는 문제의 경우 개인의 성실함과 노력까지 완전히 가려질 수 밖에 없어 지속적인 논쟁거리가 될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채용때 지역 인재 배려를 위한 ‘지역인재 30% 할당제’의 경우 수도권에 대한 역차별 가능성도 있어 비율을 현실적으로 조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조언했다.

백경훈 청년이여는미래 대표는 “직무능력중심 채용의 전제는 누구든 능력 실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가 많아야 한다는 것”이라며 “대학교육과 직업교육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서 온오프라인은 물론이고 기존 대학, 센터, 공공 기관 등을 활용한 능력 실무 개발을 위한 사회적 시스템을 더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영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