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사업체 영업이익률, 부산이 전국서 가장 높다…매출액도 전국 평균보다 2배 높게 성장

전국경제총조사 결과 영업이익율 분야서 7대 도시 중 1위로 도약

1인당 총급여도 전국보다 높은 성장률 보여

상용근로자는 11.3%나 늘어

출처 : 통계청 경제총조사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 비율)출처 : 통계청 경제총조사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 비율)


부산경제 체질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부산시가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 기준 부산에 있는 사업체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7.67%로 5년 전보다 7대 도시 중 4위에서 1위로 도약했다. 같은 기간 부산(0.18%p)과 제주(0.13%p)만 영업이익률이 증가했으며, 나머지 14개 시도는 모두 감소했다. 영업이익률이 증가한 원인은 재료비 등의 원가비중이 2010년 81.1%에서 2015년 77.5%로 3.6%p 줄어든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이 자료는 부산시가 통계청이 5년에 한 번씩 전수조사하는 전국 경제총조사를 분석한 결과를 담았다.

사업체당 매출액과 영업이익의 증가율도 전국평균보다 높게 조사됐다. 부산은 산업구조상 도소매 숙박·음식점업 등 영세업종의 비중이 높고 대기업이 없어 사업체당 매출액은 전국대비 낮은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최근 5년간의 사업체당 매출액을 보면 2010년 8억5,100만원에서 2015년 9억6,400만원으로 연평균 2.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국은 12억9,100만원에서 13억7,100만원으로 연평균 1.2% 늘어나 부산의 연평균 증가율이 2배가량 높다.

사업체당 영업이익은 2010년 6,370만원에서 2015년 7,390만원으로 연평균 3.0% 증가한 반면 같은 기간 전국은 연평균 3.5% 감소한 것과 대비된다. 도시별 사업체당 영업이익을 볼 때 2010년에는 울산이 3억3,000만원, 서울이 1억2,200만원 등 대기업이 집중된 울산과 수도권이 높고 대구, 부산, 광주 등 중소기업 위주의 지방도시는 낮았다. 특히 부산은 6위로 광주보다도 낮았다. 그런데 2015년에는 부산이 7대 도시 중 가장 높은 성장을 보이며, 특히 수도권인 인천보다도 사업체당 영업이익이 높아지는 등 지방 맹주 도시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또한 부산 내 5인 이하 사업체 수가 차지하는 비중이 2010년 85.3%에서 2015년에는 82.3%로 3.0%p 감소한 반면 전국 100인 이상 사업체수 중 부산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6.5%에서 6.6%로 0.1%p 증가하는 등 규모면에서도 부산 업체의 영세성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1인당 총급여도 전국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2010년 부산의 1인당 총급여는 1,840만원에서 2015년 2,420만원으로 연평균 5.6% 늘어났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 증가율인 5.1%보다 0.5%p 높은 성장률이다. 근로자의 질적 수준 향상은 상용근로자 분야에서도 나타났다. 상용근로자는 1년 이상의 고용계약과 4대 보험 등 복리후생과 상대적으로 높은 임금 등으로 양질의 일자리로 구분될 수 있다. 통계청이 지난 9일 공개한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른 올해 7월 지역별 상용근로자수를 보면 부산의 상용근로자는 82만8,000명으로 2년 전인 2015년 7월과 비교해 8만4,000명, 11.3%나 늘어났다. 이는 같은 기간 전국평균 증가율인 6.0% 보다 2배가량 높은 것으로 7대 도시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 이에 따라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 비중도 2년 전 58.9%에서 63.2%로 4.3%p 증가했으며 이 또한 7대 도시 중 가장 높은 증가폭이다. 특히 같은 기간 대구는 63.0%를 유지하는 데 그쳤고 인천은 61.9%에서 62.8%로 0.9%p 증가에 그쳐 부산이 상용근로자 비중에서 인천과 대구를 넘어섰다.

관련기사



한편 수도권 규제완화로 수도권의 경제 집중현상은 더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수도권의 사업체 수는 158만개였으나 2015년에는 183만5,000개로 연평균 3.0% 늘어나 전국평균 증가율인 2.9%보다 높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에서도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2015년 기준)이 각각 55.0%와 50.5%로 5년 전보다 0.9%p 및 4.0%p 증가했고, 지역총생산(GRDP) 역시 49.4%로 0.6%p 늘어났다.

이에 대하여 부산시 관계자는 “수도권으로 경제 집중현상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부산경제의 체질이 개선되고 있다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라면서 “앞으로 있을 4차 산업 혁명에 대비해 신산업으로의 체질개선 등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수도권으로의 쏠림 현상은 수도권 규제 완화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지방분권 강화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를 해야 하는 이유 중 하나”라며 “부산시는 독자적인 지방분권형 개헌안을 국회에 제출한 상태로 내년에 있을 개헌에 지방의 입장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