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강경화 "中 추가 대북제재 논의에 열려 있어"

"강력한 결의안 채택 위한 중국 역할 기대"

"中, 대북 원유 공급 중단 동의할지는 예단 어려워"

"北, 美 대북 적대시 포기하면 핵실험 중단한다고"

"전술핵 재배치 검토 안해"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5일 오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북한의 제6차 핵실험 관련 긴급 현안 질의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5일 오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북한의 제6차 핵실험 관련 긴급 현안 질의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5일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추가 제재 논의를 하는데 열린 마음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핵심 조치로 거론되는 대북 원유 공급 중단에 대해서는 중국이 동의할지 예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에 참석해 전날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의 전화통화 내용을 언급하며 “(왕이 부장이) 유엔 안보리에서 추가 제재 논의를 하는데 열린 마음을 갖고 있다고 반응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통화에서) 주로 6차 핵실험에 관해 얘기를 했다”며 “이번에 중국 외교부에서 발표한 강한 설명을 평가하고 안보리에서 중국과 긴밀히 협의해 강력한 결의한 채택에 중국의 역할을 기대한다고 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중국의 대북 원유 중단 참가 가능성에 대해서는 “타국의 정책을 예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강 장관은 지난 5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린 북미 비공개 접촉에서 최선희 북한 외무성 미국 국장이 미국에 핵실험 중단 의사를 내비친 사실을 인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이 당시 대북 적대시 정책을 포기하면 핵실험을 중단할 수 있다는 입장을 미국에 전달했다는 언론보도에 대해 “그런 발언을 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며 “뒤에 담긴 의도가 무엇인지는 그 뒤에 후속 조치가 없었기 때문에 모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에 대해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김정은 정권교체, 북한 정권 붕괴, 통일 가속화, 미군이 38선을 넘지 않겠다는) ‘4NO’ 원칙 메시지를 계속 발신했다”고 덧붙였다.

강 장관은 또 “현재 안보상황이 전술핵 재배치를 위한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를 고려할 정도로) 비상사태라고 규정할 수 없다”며 정부 차원에서 전술핵 재배치를 검토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류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