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46개 공공기관, 합동 채용방식 확대 '중복합격 방지, 경쟁률 완화' VS 취업 선택권 박탈

정부가 하반기 공공기관 신규채용에서 46개 공공기관에 합동채용 방식을 확대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수험생 중복합격을 방지하고 경쟁률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라지만, 취업 선택권 박탈이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7일 기획재정부는 올해 하반기 공공기관 신규채용시 유사업무 공공기관간 동일 날짜에 필기시험을 치르는 합동채용 방식을 8개 기관에서 46개 기관으로 확대키로 했다고 입장을 전했다.


기재부는 “일부 수험생의 중복 합격에 따른 타 응시자의 채용기회 축소, 과도한 경쟁에 따른 사회적 비용 완화 등을 위한 것”이라며 “이미 합동채용을 실시중인 8개 기관 외에 추가적으로 38개 기관이 참가, 총 46개 공공기관이 합동채용에 참여할 예정”이라고 마라했다.

합동채용은 사회간접자본(SOC), 에너지, 정책금융, 보건의료 등 7개 분야 총 15개 분야로 나누어 시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SOC 분야(11개)는 또 공항(2개), 철도(3개), 도로(2개), 항만(4개) 등으로 세분화하고, 에너지 분야(11개)도 전기 ·발전 등 4개 그룹으로 구분되고 있다.


이미 합동채용을 추진중인 정책금융 분야에는 4개 기관(기은 ·산은 ·수은 ·예보) 외에 6개 기관이 추가 참여해 2개 그룹으로 나눠 실시하고 있는 상황.

관련기사



정부는 합동채용 확대 시행 첫해임을 감안해 참여기관과 추진방식 등에 있어 수험생들의 다양한 응시기회 보장 등도 함께 고려할 방침이다. 이미 채용일정을 공지한 기관과 소규모 채용 기관 등을 합동채용에서 제외했고, 응시기회의 급격한 축소를 방지하기 위해 그룹별 시험일자를 다양화했다. 또 여전히 230개의 기관은 개별채용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정부는 “금융 ·항만 등 일부 공공기관에서 추진하고 있는 합동채용 방식의 긍정적 효과를 확대하는 차원에서 추진했다”며 “2006년부터 합동채용을 추진해 온 금융공공기관의 경우 중복합격 감소 등으로 인해 채용당해 연도의 이직률이 낮은 수준”이라고 이유를 공개했다.

반면 연중 기관별 분산채용의 경우 과도한 응시 경쟁과 중복합격자 연쇄이동 등에 다른 사회적 비용이 발생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공공기관 설문조사 결과, 중복합격 이직자는 2014~2016년 3년간 총 870명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편 박문규 공공정책국 인재경영과장은 “일부 응시자의 중복합격 방지 및 경쟁률 감소로 대다수의 구직자들에게 실질적 채용기회를 확대하고 수험기간 장기화 등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며 “공공기관 입장에서도 기관 선호도가 높은 인재를 선발해 합격 후 입사포기 ·이직 등에 따른 인력운영 차질을 방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