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韓전술핵·日핵무장 언급에…中 "동북아 군사화 가속 말라" 강한 경계

"북핵위기 구실로 무기판매땐 中도 군비 경쟁 합류"

북한 6차 핵실험을 계기로 한국의 전술핵 재배치, 일본의 핵무장 주장이 거론되는 가운데 중국이 그러한 주장들에 대한 강한 경계심을 드러냈다./연합뉴스북한 6차 핵실험을 계기로 한국의 전술핵 재배치, 일본의 핵무장 주장이 거론되는 가운데 중국이 그러한 주장들에 대한 강한 경계심을 드러냈다./연합뉴스


북한 6차 핵실험을 계기로 한국의 전술핵 재배치, 일본의 핵무장 주장이 거론되는 가운데 중국이 그러한 주장들에 대한 강한 경계심을 드러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영문 자매지인 글로벌타임스는 11일 “미국이 북핵을 빌미로 동맹국들에게 무기 판매를 승인하는 등 동북아 지역에 대한 군사화를 가속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중국과 러시아 등 역내 국가의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이 신문은 주장했다.

중국의 관변학자인 쑹중핑(宋忠平)은 “패트리엇 미사일, 사드, 토마호크 미사일, 스텔스 전투기 등 방어용 무기를 비롯해 북한의 군사 타깃을 선제로 타격할 수 있는 공격용 무기가 한국과 미국에 구매 허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이 동북아 무장을 가속하는 이유는 동맹국들에게 더 많은 무기를 제공해서 군사 충돌 시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추인(儲殷) 중국 북경외교학원 부교수도 “북핵 위기로 인해 한국과 일본 등은 이전에 가질 수 없었던 무기를 보유하고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그는 “중국도 이에 대응해 동북아 지역 군사화에 나서면서 군비 경쟁에 합류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동북아 지역의 군비 경쟁의 책임을 미국과 그 동맹국들에게 돌리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관련기사



중국 전문가들은 미국과 동맹국들에게 맞서 중국 역시 군사력 강화에 나서야 한다고 말한다. 쑹중핑은 “중국도 미국과 동맹국의 무장 강화에 맞서 공격과 방어용 군사 배치를 강화하고, 미사일 방어 능력도 향상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만약 한반도에서 충돌이 발생한다면 가능한 한 빨리 상황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중국 당국이 한국의 전술핵 배치와 일본의 핵무장이 동북아 ‘핵도미노’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가급적 언급을 자제하면서도 강한 경계심을 가지고 대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임우철 인턴기자 dncjf8450@sedaily.com

임우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