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한국, 2050년 성장률 1%대 추락할 것"

英이코노미스트 노동인구 감소 경고...여성·장애인 사회활동 장려 강조






“한국은 노동인구 감소로 오는 2050년에는 국내총생산(GDP) 기준 경제 규모가 10위권 밖으로 완전히 밀려날 것입니다. 은퇴연령을 높이고 여성과 장애인의 노동 참여를 늘려야 합니다.”

사이먼 뱁티스트(사진) 이코노미스트인텔리전스유닛(EIU)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11일 세계경제연구원이 ‘세계 경제 성장 전망과 기술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연 조찬강연회에서 “한국은 최근까지 3.5~4%대의 성장을 기록했지만 2030년까지는 연 2%대로 둔화하고 2050년까지는 1%대 성장에 그칠 것”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뱁티스트 수석은 한국에 지금까지 노동인구의 증가가 성장동력으로 작용했지만 앞으로는 노동인구가 줄어들어 이를 기대하기 어려워진다고 전망했다. 이 때문에 한국이 노동인구를 늘릴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의 성장 지속 배경은 지난 1970년대 여성의 노동 참가율 상승과 이민자 수용으로 노동인구가 꾸준히 늘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한국도 상대적으로 낮은 여성의 노동 참가율을 올리고 이민자를 받아야 한다”며 “은퇴연령을 높이고 장애인 등 소외층의 노동 참가율을 높이는 방법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그는 “현재는 미국과 중국이 세계 2대 경제 대국이지만 2050년에는 인도가 빠르게 성장하며 세계 3대 경제권을 형성할 것”이라며 “인도네시아와 멕시코도 10위권 국가로 새롭게 등장하지만 한국과 이탈리아·캐나다가 GDP 기준 10위권 밖으로 멀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뱁티스트 수석은 “이번 전망에서 한반도 통일이라는 변수는 빠졌다”며 “통일이 단기적으로는 어려움이 되겠지만 한국이 발전한 방식을 북한에 도입하면 장기적으로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또 “한국은 연구개발(R&D)이나 기술혁신이 뛰어나며 서비스 산업의 잠재력도 크다”며 “한국의 경제 성장은 둔화하더라도 1인당 GDP 성장률은 실질 GDP 성장률보다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뱁티스트 수석은 “현재 한국은 GDP 성장률이 1인당 GDP 성장률보다 높지만 향후에는 역전될 것”이라며 “앞으로는 인구 증가보다 기술혁신 등에 따라 성장이 이뤄질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사실 개인으로 보면 GDP보다 실제 삶의 수준을 보여주는 1인당 GDP가 더 중요한 문제”라며 “기술혁신이 이어지면 삶의 질이 후퇴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