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2017 프랑크푸르트 모터쇼 개막] 운전대·페달 없이 자율주행...미래 모빌리티 전쟁 막 올랐다

벤츠· 폭스바겐 등 전기동력 기반

자율주행 콘셉트카 앞다퉈 선봬

세단 대신 소형 SUV 대거 등장

현대차 코나·스토닉 관심 뜨거워

메르세데스 벤츠가 세계 최초로 공개한 하이퍼카 ‘메르세데스-AMG 프로젝트 원’/사진제공=벤츠메르세데스 벤츠가 세계 최초로 공개한 하이퍼카 ‘메르세데스-AMG 프로젝트 원’/사진제공=벤츠




벤츠 소형차 브랜드 스마트의 완전자율주행 콘셉트카 ‘EQ포투’.  /사진제공=벤츠벤츠 소형차 브랜드 스마트의 완전자율주행 콘셉트카 ‘EQ포투’. /사진제공=벤츠


폭스바겐의 완전자율주행 콘셉트카 ‘세드릭’. /AP=연합뉴스폭스바겐의 완전자율주행 콘셉트카 ‘세드릭’. /AP=연합뉴스


12일(현지시간) 독일 프랑크푸르트 모터쇼(IAA 2017) 미디어데이가 열린 메세 전시장. 홀2를 통째로 쓰는 메르세데스벤츠관에 모인 관람객들은 한순간 눈이 휘둥그레졌다. 운전대도, 가속페달도, 브레이크도 없는 형태의 차량 한 대가 무대 위로 등장하더니 이리저리 방향을 전환하자 여기저기에서 환호성이 터졌다. 주인공은 벤츠의 소형차 브랜드 스마트의 완전자율주행 콘셉트카 ‘EQ 포투’. 2인승의 아담한 차체에 운전석 한가운데는 24인치 크기의 큼직한 터치스크린만 있었다.

1시간 후 벤츠전시장 건너편 폭스바겐 홀에서도 판박이 같은 상황이 연출됐다. 마치 자기부상열차를 연상케 하는 네모난 차량이 저속으로 주행했지만 내부에는 눈에 익은 주행 조작 장치를 찾아볼 수 없다. 마주 보는 형태의 의자에 앉은 사람들이 서로 수다를 떨 뿐이다. ‘세드릭’으로 이름 붙은 이 차는 자동차 대제국 폭스바겐그룹이 그리는 완전자율주행차의 비전이다.


자동차의 고정관념을 깬 미래 모빌리티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불과 8개월 전 미국 디트로이트모터쇼에서 ‘언제 운전대에서 완전히 손을 뗄 수 있을까’하는 기대감이 주를 이뤘다면 2017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는 운전대 자체가 없는 자율주행 시대 구현이 멀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EQ 포투’와 ‘세드릭’의 구동은 모터, 동력원은 전기다. 디터 체체 다임러 AG 회장은 “EQ 포투는 철저히 미래 모빌리티에 맞는 새로운 개념의 이동 수단으로 스마트폰을 통한 제어와 차량 네트워크를 통한 자율주행을 구현한 모델”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특히 “우리가 추구하고자 하는 바는 ‘공유’와 ‘개인화’의 양립”이라고 강조했다. EQ 포투의 외부는 물론 내부 색깔도 차를 부른 사람의 취향에 맞게 즉각적으로 설정되지만 내리는 즉시 이를 이용할 또 다른 사람을 위한 차로 변신한다. 체체 회장은 “EQ 포투가 현실화하는 완전자율주행 시대가 도래하면 도시 내 차량 수요는 현재의 절반으로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세드릭을 소개한 마티아스 뮐러 폭스바겐그룹 회장은 “10년 후에는 커피 한 잔 하는 시간 동안 전기차 완전 충전이 가능할 것”이라면서 “주행거래 역시 600㎞ 이상으로 비약적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공언했다. 폭스바겐그룹은 오는 2030년까지 전기차와 완전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 투자에 27조원을 쏟아붓기로 했다.

이 같은 흐름은 독일 브랜드에만 국한된 게 아니다. 르노 역시 이번 모터쇼에서 자율주행 콘셉트카 ‘심비오스’를 선보였다. 100% 전기 동력의 심비오스 역시 완전자율주행을 목표로 개발된다.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는 참석하지 않은 GM 역시 완전자율주행 시대를 외쳤다. GM의 자율주행 부문 자회사인 크루즈오토메이션의 카일 보그트 최고경영자(CEO)는 “GM은 운전자 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세계 최초의 완전자율주행차 대량생산 체제를 공개한다”면서 “연간 10만대의 완전자율주행차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아차 ‘스토닉’기아차 ‘스토닉’


미래 모빌리티가 현실화되면서 세단의 시대는 저물고 있다. 미래차와 별개로 이번 모터쇼에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이 대거 등장한 것. 특히 소형 SUV가 대세다. 현대차(005380)와 기아차(000270)는 각각 이번 모터쇼에 사활을 걸고 출시한 ‘코나’와 ‘스토닉’을 선보였다. 관건은 현대기아차가 소형 SUV의 성지인 유럽시장을 공략할 수 있을지 여부다. 중국과 미국에서 고전 중인 상황에서 유럽은 현대기아차의 유일한 희망이다. 일단 분위기는 나쁘지 않다. 현대차의 미디어 콘퍼런스가 열리기 1시간여 전부터 부스는 발디딜 틈이 없을 정도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관심사는 코나였다. 뒤이어 열린 기아차 콘퍼런스에서도 스토닉에 대한 관심이 뜨거웠다. 이와 함께 폭스바겐이 티구안보다 한 체급 낮은 준중형 SUV ‘티록’과 주력모델인 ‘골프’의 덩치를 살짝 키운 해치백 모델을 동시 공개했다. 랜드로버의 SUV 기술력을 본떠 온 재규어 역시 콤팩트 SUV ‘E페이스’를 선보였다. /프랑크푸르트=조민규기자 cmk25@sedaily.com

조민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